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5℃
  • 흐림강릉 11.0℃
  • 흐림서울 8.1℃
  • 흐림대전 8.8℃
  • 박무대구 9.5℃
  • 연무울산 11.6℃
  • 구름많음광주 10.1℃
  • 연무부산 13.6℃
  • 흐림고창 8.1℃
  • 구름많음제주 13.2℃
  • 구름많음강화 7.3℃
  • 흐림보은 7.1℃
  • 흐림금산 8.4℃
  • 흐림강진군 10.0℃
  • 구름많음경주시 9.2℃
  • 구름조금거제 13.3℃
기상청 제공
배너

헤드라인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아시아통신 TV / 카메라고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핫이슈



플러스

더보기


스포츠

더보기

정치/경제

더보기


PHOTO NEWS

더보기
thumbnails
포토뉴스

누군가 한 사람만 확인만 해 보았더라면

“미국의 유력 일간지인《시카고 선타임스》와《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 는 2025년 5월, 여름 추천 도서목록을 발표했다. 그런데 독자들이 막상 찾아보니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책이 많았다(중략). 진짜로 존재하는 책은 5권뿐이었고 나머지 10권은 ‘가짜 책’이었다. 해당 언론의 신 뢰는 곤두박질쳤다. 이 특집 기사를 작성한 프리랜서 기자는 해당 콘텐 츠를 생성형 AI로 만들었으며, 별도의 사실 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았 다고 밝혔다. 이 사건은 AI가 만들어낸 그럴듯한 거짓 정보, 즉 ‘환각hallucination’이 공신력 있는 매체의 명성을 얼마나 쉽게 무너 뜨릴 수 있는지 여실히 보여주었다.” 김난도 외 다수 공저(共著) 《트렌드 코리아 2026》 (미래의 창, 135-136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누군가 한 사람만 확인만 해 보았더라면.” 그 언론의 명성은 무너 지지 않았을 것입니다. 과거에는 ‘오보’가 취재 과정의 착오나 정보의 부족에서 비롯되었다면, 오늘날은 확인하지 않은 AI의 말을 인간이 무 비판적으로 받아들일 때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의 본질은 기술 자체가 아니라 기술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입니다. AI는 수천 권의 책을 아는 도서관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