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배너

공지사항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아시아통신 TV / 카메라고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핫이슈



플러스

더보기


스포츠

더보기

정치/경제

더보기


PHOTO NEWS

더보기
thumbnails
포토뉴스

비 내리는 날의 의미

“인류의 형이상학이 최초로 발생되던 날은 분명히 비가 내리는 날이 었을 것이다(중략). 비가 쏟아지는 날 온종일을 두고 침울한 굴속에 갇혀 있지 않으면 안 되었으리라. 다른 날과는 달리 수렵이 불가능했고 그래서 그들은 우울한 빗발 속에서 무료한 시간을 보내지 않으면 안 되 었을 것이다(중략). 비 오는 날의 동굴처럼 작업이 중단되었을 때 인간은 인간의 운명을 생각하고 삶의 내용을 음미한다.” 이어령 저(著) 《시와 함께 살다》 (문학사상사, 126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비가 내리면 사람들은 고요한 마음으로 인생을 사색합니다. 질척한 회 색의 거리, 그 단조한 빗발 소리는 동굴의 휴일 그것처럼 생각에 잠기게 합니다. 이어령교수는 인류의 문화가 비 오는 날 즉 여백의 시간에 이 루어졌다고 합니다. “인류 문화는 일하는 시간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일손을 멈추고 잠시 휴식하는 그 여백의 시간에 이루어졌다” (126쪽) 산에 오를 때 사람들은 정상을 봅니다. 정상에 도달해야 한다는 다짐이 발걸음을 이끕니다. 드디어 정상에 섰을 때, 환희와 뿌듯함. “해냈다” 는 감격이 온몸을 적십니다. 그런데, 발밑에 피어 있던 들꽃도, 바람 결에 흔들리던 나뭇잎도, 산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