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배너

헤드라인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아시아통신 TV / 카메라고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핫이슈



플러스

더보기


스포츠

더보기

정치/경제

더보기


PHOTO NEWS

더보기
thumbnails
포토뉴스

정원사 같은 사람, 목수 같은 사람

“나무를 목재, 즉 Wood로 보느냐, 아니면 살아 있는 나무 Tree로 보느 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겠지요. 정원사는 나무가 살아야 먹고살지만 목수는 나무가 죽어야 먹고살지요. 그래서 정원사에게는 Tree가 필요하 고, 목수에게는 Wood가 필요합니다.” 김성곤 저(著) 《이어령 읽기》 (민음사, 152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정원사의 마음을 가진 사람은 다른 사람을 하나님이 지으신 고유한 생명(Tree)으로 바라봅니다. 그의 성장 속도를 존중하고, 아픔을 보듬으 며, 그 사람이 하나님 안에서 온전히 뿌리내리고 열매 맺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때로는 벌레를 잡아주고, 가지를 쳐주며, 가뭄에는 물을 주는 수고를 아끼지 않습니다. 관계 속에서 함께 울고 웃으며 생명을 함께 가꾸어 나갑니다. 하지만 목수의 눈으로 사람을 보면, 그 사람은 나의 목적이나 교회의 성장을 위한 하나의 부품, 즉 ‘목재(Wood)’로 전락하기 쉽습니다. 그 사람의 재능, 재정, 사회적 위치가 교회의 어떤 부분에 유용할지를 먼저 계산합니다. 쓸모가 없어지거나 내 생각과 다른 모양을 가지려 하면 잘라내고 폐기해 버립니다. 그 영혼의 고유한 아픔과 가능성보다는 기능과 효율성을 먼저 따지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