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배너

헤드라인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아시아통신 TV / 카메라고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핫이슈



플러스

더보기


스포츠

더보기

정치/경제

더보기


PHOTO NEWS

더보기
thumbnails
포토뉴스

서울 떠나니 커피 생각

“서울 사는 사람은 언제나 전원의 목가적 풍광을 사모한다. 그러나 막상 그곳에 가면 며칠이 못 되어 다시 도회의 번화한 풍광과 따뜻한 커피 한잔이 그립게 마련이다. 이에 대한 처방은 무엇일까?” 정민 저(著) 《한시 미학 산책》(솔, 122-123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서울에 사는 사람은 전원의 평화롭고 목가적인 삶을 동경합니다. 하지만 막상 전원에 가보면, 며칠 지나지 않아 도시의 편리함, 활기, 그리고 ‘따뜻한 커피 한 잔’으로 상징되는 세련된 문화를 그리워하게 됩니다. 일본 에도시대의 바쇼의 시는 이 주제를 한층 더 깊이 있게 만듭니다. 가을 십 년에 도리어 에도(江戶) 쪽을 가리키는 고향 바쇼는 1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타지였던 에도(현재의 도쿄)에서 생활 했습니다. 이제 그곳을 떠나 태어난 고향으로 돌아가지만, 그의 마음은 오히려 자신이 떠나온 도시 ‘에도’를 향하고 있습니다. 이는 고향이 라는 개념이 단순히 태어난 장소(birthplace)가 아니라, 자신의 삶과 시간이 켜켜이 쌓인 곳, 정서적 유대감이 형성된 곳(hometown)으로 변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작가 김은주는 행복이 가장 싫어하는 세 단어가 있다고 했습니다. 지금 말고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