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1억, 명예퇴직금 10억원 !...최근 은행원들의 연봉과 명예퇴직금 명세표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온 국민들과 셀러리맨들이 코로나19사태 이후 핍박해진 가계 살림을 꾸 려가고 있는 상황에서 은행들이 직원 급여 조건을 이처럼 끌어 올리고 있는 것은 ‘나홀로 축제’라며 고개를 젓고 있는 반면, 다른 한 쪽에서는 ‘언텍트’ 시대로의 변화 속에서 파생 된 ‘마지막 축제’라는 진단이 팽팽히 맞서 있다. 22일, 시중은행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KB국민은행, 신한, 하나, 우리 등 시중은행 4곳의 연평균 금여가 2017년 9,025만원에서 지난해 9,800만원으로 3년 새 8,6% 높아졌다. 은행별로는 3년 새 국민은행이 1,300만원, 우리은행이 800만원, 신한*우리은행은 500만원씩 올랐다. 작년 말 기준 4대 은행 가운데 직원 평균 급여액이 가장 많은 곳은 국민은행(1억 400만원)으로 유일하게 연봉 1억원대로 올라섰다. 신한, 우리은행은 나란히 9,600만원, 9,500만원을 기록했다. 한편, 은행직원수는 작년 말 기준 은행 4곳의 직원 수를 모두 합치면 5만7,896명으로 2017년의 6만 457명보다 4,2%인 2,561명 줄었다. 은행별로는 같은 기간 하나은행의 직원 감소 폭이 1,293명으로 가장 많았고 국민은행 625명, 우리은행 475명, 신한은행 168명 감소했다. 인원감축과 함께 영업점 통폐합, 축소 작업이 맞물리면서 점포수가 빠르게 줄고 있다. 4대 은행 점포수는 2018년 말 3,563개에서 작년 말 3,303개로 2년 새 260곳 사라졌다. 비대면 시대에 스마트 폰 뱅킹 수요가 급증세를 보이면서 지점과 직원 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현재의 은행계 상황은 ‘웃돈’을 얹고서라도 직원들을 내보내야만 ‘초저금리 시대’와 ‘비대면 사태’를 극복해 나갈 수 있다는 급박한 심정들이다. 이 때문에 명예퇴직금이 10억까지 치솟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 이를 두고 은행권의 ‘마지막 축제’라는 별칭도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