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1 (금)

  • 구름많음동두천 6.4℃
  • 맑음강릉 9.8℃
  • 박무서울 8.0℃
  • 맑음대전 8.4℃
  • 맑음대구 7.4℃
  • 맑음울산 9.5℃
  • 맑음광주 6.4℃
  • 맑음부산 9.4℃
  • 맑음고창 7.7℃
  • 맑음제주 13.7℃
  • 구름많음강화 6.3℃
  • 맑음보은 4.9℃
  • 맑음금산 6.2℃
  • 맑음강진군 9.2℃
  • 맑음경주시 10.5℃
  • 맑음거제 9.3℃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비빔밥 먹을 사람?


나에게 비빔밥은 ‘아빠’와 동의어입니다. 다정이 병일 만큼 자상했던
아빠. 다섯 자식들이 제비 새끼처럼 두레상에 조르르 앉으면, 아빠가
물었습니다. “비빔밥 먹을 사람?”
“나.”, “나.”. “나.”, “나.”, “나.”
오중창이 이어졌고 아빠는 아이들의 그릇마다 따로따로 정성껏 밥을 비
볐습니다. 큰 그릇에 다 넣고 한 번에 비빌 만도 한데, 생긴 것만큼이나
다른, 저마다의 비빔 취향에 따라 고추장 많이, 간장으로, 김치 넣고,
참기름 많이, 호박나물 빼고… .
주문에 맞춰서 각자의 밥그릇에 부벅부벅 밥을 비벼주었습니다.
“아빠, 나, 비빔밥!”
이 소리에 수저를 내려놓고 밥을 비벼줬던 아빠. 더없이 다정한 비빔
밥을 맛보는 복을 누린 그 시간이 새삼 고맙습니다.

정진아 편저(編著) 《맛있는 시》 (나무생각, 25쪽) 중에 나오는 구절
입니다.

 

 

하얀 쌀밥 위에 모여든 빨강, 초록, 노랑, 주황 각자 다른 빛깔, 다른
맛이지만 서로 어울려 한 그릇에 녹아듭니다. 숟가락으로 휘휘 저을 때
마다 재료들은 더 깊이 섞이고 각자의 맛을 나누어 가집니다. 다른 듯
어우러지는 각기 다른 맛들이 하나로 섞이며 더 깊은 맛이 납니다.
비빔밥은 갖가지 재료와 양념이 서로 어우러져 저마다 고유한 맛을 지
니면서도, 조화롭게 비벼져서 새로운 맛을 내는 매력적인 음식입니다.
섞임의 미학, 화합과 융합의 미학입니다. 자기를 잃지 않되 잘 어울릴
줄 아는 “화이부동(和而不同)”의 미학입니다.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들과 먹었던 스토리가 있는 음식입니다.

 

 

드라마 〈대장금〉에는 장금이가 왕에게 산딸기를 바치는 장면이 나옵
니다.   장금이는 이 음식이 ‘최고의 음식’이라 하였습니다.  왕이
이유를 묻자 이렇게 대답합니다.
“산딸기는 편찮으신 어머니께 드린 마지막 음식입니다.  제 어미를 걱
정하던 마음으로 전하께 올렸습니다.”
산딸기에 스며 있는 스토리를 말한 것입니다. 그랬더니 산딸기에 담긴
따뜻하면서 애닲은 사연이 그 맛을 최고의 맛으로 만듭니다.
사랑이 깃든 음식이 제일 맛있습니다.
하나님과 사람을 깊이 사랑하여 동행한 스토리가 있는 사람이 가장 행
복합니다.
 

 

“에녹이 하나님과 동행하더니 하나님이 그를 데려가시므로 세상에 있지
아니하였더라.” (창5:24)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배너
배너


김영옥 보건복지위원장,‘외로움안녕 120(+5)’고립과 외로움 해소에 대한 좋은 정책으로 시민이 체감하는 성과 기대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옥 위원장(국민의힘, 광진3)은 제328회 임시회 기간 중 복지실로부터 서울시 외로움·고립은둔 종합대책과 관련한 세부 추진 사업을 보고받았다. 특히, 오는 4월부터 운영될 ‘외로움안녕 120(+5)’ 플랫폼이 외로움 전담 콜센터로서 24시간 365일 운영될 수 있도록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외로움안녕 120(+5)’이 단순한 행정 서비스가 아니라 시민들의 정서적 건강을 위한 실질적 지원 대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운영에도 최선을 다할 것을 당부했다. ‘외로움안녕 120’은 120다산콜센터로 전화 후 전담 코드 ‘5번’을 누르면 외로움·고립·은둔 지원을 위한 전담 상담원과 직접 연결되는 게이트 웨이(gateway)방식으로 운영된다. 시민들은 전문 상담사와 1차 기초상담을 진행한 후, 필요에 따라 고립예방센터 등 다양한 협업 기관으로 연계되어 맞춤형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이웃의 위기에 대해 시민 신고 시 동 주민센터 및 경찰 등과 협업하여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운영될 예정이다. 김영옥 보건복지위원장은 “이번 ‘외로움안녕 120(+5)’ 운영을 통해 서울시가 외로움과 고립 문제에 대해 선제적이고 적극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