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한국의 차마고도라고도 일컬어지는 비밀의 숲길, 새이령 마장터" 트레킹> 김광부 기자
“분명 그분은 당신의 피조물들과는 달리, 그 어떤 존재의 결핍 때문에
고통 당하시는 것이 아니시다. 그분은 존재로부터 흘러 넘치는 사랑 때
문에 고통 당하시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복음이 정의하는 사랑이다.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필립 얀시 저(著) 최규택 역(譯) 《고통의 영성》
(그루터기하우스, 152-153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강원, "한국의 차마고도라고도 일컬어지는 비밀의 숲길, 새이령 마장터" 트레킹> 김광부 기자
영성학자 필립 얀시는 사랑 ‘애(愛)’ 자를 이렇게 풀이했습니다.
“상징성이 풍부한 중국의 상형 문자는 사랑과 고통이라는 두 개념을 잘
결합해 놓았다. 사랑(愛)이라는 뜻을 가진 한 자의 윗부분과 고통(憂)
이라는 뜻을 가진 한자의 윗부분을 없애면 나머지 부분은 ‘마음이 너무
애달파서 발도 생각대로 나아가지 못한다’는 사랑과 고통을 내포하는
공통의 뜻이 된다.” (153쪽)
<강원, "한국의 차마고도라고도 일컬어지는 비밀의 숲길, 새이령 마장터" 트레킹> 김광부 기자
누가복음 15장에 나오는 탕자의 이야기에서 ‘아버지’라는 단어가 무려
11번이나 나옵니다. 아버지는 집 나간 탕자를 한없이 기다렸습니다.
기다려준 시간은 그를 향한 사랑한 크기였고 아픔이었습니다.
화가 렘브란트의 〈탕자의 귀향〉에 보면 탕자 아버지의 눈은 그리움과
아픔에 뭉개져 있습니다.
<강원, "한국의 차마고도라고도 일컬어지는 비밀의 숲길, 새이령 마장터" 트레킹> 김광부 기자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요3;16a)
하나님의 사랑은 우리를 위하여 독생자 예수님을 십자가에 주신 아픈
사랑이었습니다. 사랑은 아픔입니다.
<경건 메일 / 한재욱 목사>
<강원, "한국의 차마고도라고도 일컬어지는 비밀의 숲길, 새이령 마장터" 트레킹> 김광부 기자
<강원, "한국의 차마고도라고도 일컬어지는 비밀의 숲길, 새이령 마장터" 트레킹> 김광부 기자
<강원, "한국의 차마고도라고도 일컬어지는 비밀의 숲길, 새이령 마장터" 트레킹> 김광부 기자
<강원, "한국의 차마고도라고도 일컬어지는 비밀의 숲길, 새이령 마장터" 트레킹> 김광부 기자
<강원, "한국의 차마고도라고도 일컬어지는 비밀의 숲길, 새이령 마장터" 트레킹> 김광부 기자
<강원, "한국의 차마고도라고도 일컬어지는 비밀의 숲길, 새이령 마장터" 트레킹> 김광부 기자
<강원, "한국의 차마고도라고도 일컬어지는 비밀의 숲길, 새이령 마장터" 트레킹> 김광부 기자
<강원, "한국의 차마고도라고도 일컬어지는 비밀의 숲길, 새이령 마장터" 트레킹> 김광부 기자
<강원, "한국의 차마고도라고도 일컬어지는 비밀의 숲길, 새이령 마장터" 트레킹> 김광부 기자
<강원, "한국의 차마고도라고도 일컬어지는 비밀의 숲길, 새이령 마장터" 트레킹> 김광부 기자
<강원, "한국의 차마고도라고도 일컬어지는 비밀의 숲길, 새이령 마장터" 트레킹> 김광부 기자
<강원, "한국의 차마고도라고도 일컬어지는 비밀의 숲길, 새이령 마장터" 트레킹> 김광부 기자
<강원, "한국의 차마고도라고도 일컬어지는 비밀의 숲길, 새이령 마장터" 트레킹> 김광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