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 노르웨이 라우마(Rauma), "노르웨이 '요정의 길' - 트롤스티겐(Troilstigen)"> 김광부 기자
(빙하가 만든 깍아지른 협곡에 해발 2,000m 꼭대기까지 11번이나 지기재기로 심하게 굽어 있는 험한길)
“‘무엇 무엇 하지 않을 ’이라는 제목의 책이 보이면 당장 읽어 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어요(중략). 살면서 무엇 무엇을 하느라 쌓인 실패와
실망 탓이라는 걸 알게 됐어요(중략).
이제 저는 ‘해야 할’이 아니라 ‘하지 않을’자유가 한결 마음에 와
닿아요. 만나지 않을 자유, 듣지 않을 자유, 보지 않거나 선택하지
않을 자유 같은 것 말이죠.”
백영옥 저(著) 《그냥 흘러 넘쳐도 좋아요》 (아르테 209쪽) 중에 나
오는 구절입니다.
<북유럽 노르웨이 라우마(Rauma), "노르웨이 '요정의 길' - 트롤스티겐(Troilstigen)"> 김광부 기자
(빙하가 만든 깍아지른 협곡에 해발 2,000m 꼭대기까지 11번이나 지기재기로 심하게 굽어 있는 험한길)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자유’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아무 것도 하지
않을 자유’도 있습니다.
러시아 출신 유대인 이사야 벌린(Isaiah Berlin) 교수는 「자유의 두
개념(Two Concepts of Liberty)」에서 두 종류의 자유를 말합니다.
<북유럽 노르웨이 라우마(Rauma), "노르웨이 '요정의 길' - 트롤스티겐(Troilstigen)" 전망대> 김광부 기자
(빙하가 만든 깍아지른 협곡에 해발 2,000m 꼭대기까지 11번이나 지기재기로 심하게 굽어 있는 험한길)
소극적 자유(Negative Liberty)와 적극적 자유(Positive Liberty)입니다.
소극적인 자유는 어떤 간섭이나 억압으로부터의 자유, 그러한 굴레
로부터 벗어나는 자유(Freedom from Something)입니다.
적극적 자유는, 무엇을 위하여 스스로 자기 자유를 버리는 자유입니다.
<북유럽 노르웨이 라우마(Rauma), "노르웨이 '요정의 길' - 트롤스티겐(Troilstigen)" 거대한 폭포> 김광부 기자
(Freedom for Something). 이사야 벌린은 여기에 진정한 자유가 있다고 합니다.
무엇으로부터 벗어나는 소극적 자유만 가지고는 온전히 자유롭지 못
하다는 것입니다. 오히려 선하고 의로운 일을 위하여, 큰 자유를 위하여
작은 자유를 내어 놓을 때 진정한 자유인이 됩니다.
<북유럽 노르웨이 라우마(Rauma), "노르웨이 '요정의 길' - 트롤스티겐(Troilstigen)" 거대한 협곡> 김광부 기자
누구보다도 자유를 그리워했던 바울 사도도 하나님의 나라를 위하여 스
스로 종이 될 때, 더 큰 자유가 임했습니다.
<북유럽 노르웨이 라우마(Rauma), "노르웨이 '요정의 길' - 트롤스티겐(Troilstigen)" 거대한 폭포> 김광부 기자
“내가 모든 사람에게 자유하였으나 스스로 모든 사람에게 종이 된 것은
더 많은 사람을 얻고자 함이라.” (고전9:19)
<경건 메일 / 한재욱 목사>
<북유럽 노르웨이 라우마(Rauma), "노르웨이 '요정의 길' - 트롤스티겐(Troilstigen)" 거대한 폭포>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라우마(Rauma), "노르웨이 '요정의 길' - 트롤스티겐(Troilstigen)" 전망대 휴게소>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라우마(Rauma), "노르웨이 '요정의 길' - 트롤스티겐(Troilstigen)" 주변 풍경>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라우마(Rauma), "노르웨이 '요정의 길' - 트롤스티겐(Troilstigen)" 거대한 협곡>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라우마(Rauma), "노르웨이 '요정의 길' - 트롤스티겐(Troilstigen)" 거대한 협곡>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라우마(Rauma), "노르웨이 '요정의 길' - 트롤스티겐(Troilstigen)" 주변 풍경>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라우마(Rauma), "노르웨이 '요정의 길' - 트롤스티겐(Troilstigen)" 거대한 협곡 & 폭포> 김광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