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비겔란 조각공원 하일라이트 모노리탄 전경" (기쁨·슬픔·분노…인간의 희노애락이 살아 숨쉬는 ‘자연주의 조각 거장’
비겔란 예술혼 깃든 글로벌 랜드마크, 10만 여 평 규모…40여 년간 제자와 작업한 걸작 212점 전시)> 김광부 기자
영국의 유명한 건축가 크리스토퍼 우렌이 성 바오로 대사원을 지을 때의
일입니다. 어느 날 평상복 차림으로 공사장에 나간 우렌은 돌을 깎는
석공들에게 차례로 물었습니다. “지금 하고 있는 일이 재미있습니까?”
그러자 첫 번째 석공은 “뭐,돌이나 깎고 있는 것이지요.”
두 번째 석공은 “천만에요. 입에 풀칠이라도 하려고 이 짓을 하는 것
이지요.” 세 번째 석공은
“네,기쁩니다. 부족한 제가 성 바오로 대사원을 짓는 데 한 몫하고
있으니까요” 하며 각기 다른 대답을 하였습니다.
류중현 편저(編著) 《당신은 소중한 사람입니다》
(창조문예사, 90-91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비겔란 조각공원 하일라이트 모노리탄 전경" > 김광부 기자
똑같은 장소에서, 똑같은 임금을 받으며, 똑같은 시간에 똑같은 일을
하면서도 세 사람의 마음 자세는 달랐습니다.
주님은 사명을 가지고 주께하듯 일하는 사람을 찾으십니다.
영혼 없는 일은 이웃에 대한 조롱입니다. 영혼 없는 눈길이 모욕이듯
이,영혼 없는 일은 무례함을 넘어 무시입니다.
<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비겔란 조각공원 하일라이트 모노리탄> 김광부 기자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의 저자 밀란 쿤데라는 영혼을 싣지
않는 일을 ‘부도덕’하다고 했습니다.
미켈란젤로가〈모세 상(像)〉을 조각할 때의 일화입니다. 미켈란젤로는
완성된 그의 작품을 한참 바라보더니, 갑자기 화가 나서 끌로〈모세 상〉
의 발등을 부수면서 울부짖었습니다.
“왜 너는 말을 하지 않느냐?”
차가운 대리석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싶었던 그의 열정 때문이었습니다.
<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비겔란 조각공원 하일라이트 모노리탄> 김광부 기자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골3:23) <경건 메일 / 한재욱 목사>
<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비겔란 조각공원 하일라이트 모노리탄>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비겔란 조각공원 하일라이트 모노리탄>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비겔란 조각공원 하일라이트 모노리탄>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비겔란 조각공원 하일라이트 모노리탄>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비겔란 조각공원 하일라이트 모노리탄>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기쁨·슬픔·분노…인간의 희노애락이 살아 숨쉬는 ‘비겔란 조각공원' 작품">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비겔란 조각공원(해시계)">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기쁨·슬픔·분노…인간의 희노애락이 살아 숨쉬는 ‘비겔란 조각공원' 작품">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비겔란 조각공원(해시계) 작품">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기쁨·슬픔·분노…인간의 희노애락이 살아 숨쉬는 ‘비겔란 조각공원' 작품">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기쁨·슬픔·분노…인간의 희노애락이 살아 숨쉬는 ‘비겔란 조각공원' 작품">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비겔란 조각공원 풍경">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비겔란 조각공원 풍경"> 김광부 기자
<북유럽 노르웨이 오슬로, "비겔란 조각공원 풍경"> 김광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