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잘츠카머구트, "유람선에서 바라본 볼프강 호수 풍경"> 김광부 기자
“연애편지가 나비다. 아름다운 비유다. 연인들이여, 이메일이나 문자를
날리지 말고 편지지에 사랑의 말을 담아 나비같이 날리시라. ‘향기로운
징표들’을 보내시라. 시집 판매가 줄어든 큰 이유로 사람들이 연애편
지를 쓰지 않게 돼서 그렇다는 설이 있다. 시집에서 멋진 시를 베껴
연서(懲書)에 옮기곤 하던 시절이 있었다.”
황인숙 편저(編著) 《하루의 시》 (책읽는 수요일, 225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오스트리아 잘츠카머구트, "유람선에서 바라본 볼프강 호수 풍경"> 김광부 기자
스파이크 존즈 감독의 영화 「그녀(her)」에서 주인공 테오도르는 미래
사회에서 ‘beautifulhandwrittenletters.com(아름다운 손편지 닷컴)’
이란 장황한 이름을 가진 편지 대필 회사의 612번 고용 작가입니다.
236,786,678번 고객인 할머니 로레타를 대신해 그녀의 남편 크리스에게
젊은 시절을 회상하는 금혼식 편지를 작성하는 것으로 영화는 시작합니다.
<오스트리아 잘츠카머구트, "유람선에서 바라본 볼프강 호수 풍경"> 김광부 기자
가까운 미래에는 개인적으로 중요한 편지조차 누군가에게 대신 맡
기는 대필 사업이 펼쳐질 지도 모릅니다. 특히 자신보다 훨씬 문장력이
뛰어난 인공지능에게 편지를 맡길 가능성이 많습니다. 현재에도, 편지
보다는 이메일이나 스마트폰 문자, 메신저가 편지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오스트리아 잘츠카머구트, "유람선에서 바라본 볼프강 호수 풍경"> 김광부 기자
이런 가운데 손편지를 쓰는 아날로그적 감성이 있는 사람이 있다면,
향기로운 사람일 것입니다.
편지는 나비입니다. 꽃같은 가족에게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사랑과 소
망의 말을 담아 나비처럼 편지를 날리면 행복은 가까이에 있습니다.
<오스트리아 잘츠카머구트, "유람선에서 바라본 볼프강 호수 풍경"> 김광부 기자
“장로인 나는 사랑하는 가이오 곧 내가 참으로 사랑하는 자에게 편지
하노라.” (요삼1:1) <경건 메일 / 한재욱 목사>
<오스트리아 잘츠카머구트, "유람선에서 바라본 볼프강 호수 풍경"> 김광부 기자
<오스트리아 잘츠카머구트, "유람선에서 바라본 볼프강 호수 풍경"> 김광부 기자
<오스트리아 잘츠카머구트, "유람선에서 바라본 볼프강 호수 풍경"> 김광부 기자
<오스트리아 잘츠카머구트, "유람선에서 바라본 볼프강 호수 풍경"> 김광부 기자
<오스트리아 잘츠카머구트, "유람선에서 바라본 볼프강 호수 풍경"> 김광부 기자
<오스트리아 잘츠카머구트, "유람선에서 바라본 볼프강 호수 풍경"> 김광부 기자
<오스트리아 잘츠카머구트, "유람선에서 바라본 볼프강 호수 풍경"> 김광부 기자
<오스트리아 잘츠카머구트, "유람선에서 바라본 볼프강 호수 풍경"> 김광부 기자
<오스트리아 잘츠카머구트, "유람선에서 바라본 볼프강 호수 풍경"> 김광부 기자
<오스트리아 잘츠카머구트, "유람선에서 바라본 볼프강 호수 풍경"> 김광부 기자
<오스트리아 잘츠카머구트, "유람선에서 바라본 볼프강 호수 풍경"> 김광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