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눈꽃처럼 꽃이 내리는 남산 벚꽃길"> 김광부 기자
“연필로는 쓰고 지울 수가 있죠. 어떤 사람들은 이걸 자유라고 표현하
기도 해요. 실수해도 지울 수 있는 자유 말이에요. 이는 연필의 가장
주된 특징으로도 알려져 있는데요. 이 장점은 창의성과도 연결되죠.
잘못 써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지 않아도 되기에 아무런 걱정할 필요가
없으니까요. 그래서 많은 사람이 초안을 연필로 써요. 편하게 고칠 수
있으니까요.”
박지현 저(著) 《그래 나는 연필이다》 (퓨처미디어, 40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서울 중구, "눈꽃처럼 꽃이 내리는 남산 벚꽃길"> 김광부 기자
지우개의 역할은 단순히 지우는 것이 아니라 다시 쓰게 하여, 연필에게
한 번 더 기회를 주는 데 있습니다. 지워야 새로 쓸 수 있습니다. 그래
서 연필에게는 지우개가 꼭 필요합니다.
<서울 중구, "눈꽃처럼 꽃이 내리는 남산 벚꽃길"> 김광부 기자
초등학교 시절에 6.25를 겪은 한 원로 목사님이 계셨습니다. 그는 전쟁
통에 자신의 초등학교가 포탄에 맞아 불타는 것을 보았습니다. 다들 안
타까와 발을 굴렀는데, 그는 한편으로는 기뻤다고 했습니다. 교무실엔
성적표가 있었는데, 성적이 엉망이던 탓에 성적표가 포탄에 불타버렸다
고 하니 웃을까 울을까 망설였다고 합니다.
<서울 중구, "눈꽃처럼 꽃이 내리는 남산 벚꽃길"> 김광부 기자
나이가 들어갈수록 인생의 손수건엔 죄와 허물이 가득 묻어납니다.
그 주홍빛 같은 죄가 다 지워진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지우개 있는 인생, 새로 시작할 수 있는 인생이 복된 인생입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죄를 위해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셨습니다. 예수님의
십자가 사랑 때문에 우리는 죄 용서를 받고 새로운 생명의 삶을 새로이
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서울 중구, "남산 둘레길 벚꽃 명소, 벚꽃길"> 김광부 기자
“그 아들 예수의 피가 우리를 모든 죄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
(요일1:7b) <경검 메일 / 한재욱 목사>
<서울 중구, "남산 둘레길 벚꽃 명소, 벚꽃길"> 김광부 기자
<서울 중구, "남산 둘레길 벚꽃 명소, 벚꽃길"> 김광부 기자
<서울 중구, "남산 둘레길 벚꽃 명소, 벚꽃길"> 김광부 기자
<서울 중구, "남산 둘레길 벚꽃 명소, 벚꽃길"> 김광부 기자
<서울 중구, "남산 둘레길 벚꽃 명소, 벚꽃길"> 김광부 기자
<서울 중구, "남산 둘레길 벚꽃 명소, 벚꽃길"> 김광부 기자
<서울 중구, "남산 둘레길 벚꽃 명소, 벚꽃길"> 김광부 기자
<서울 중구, "남산 둘레길 벚꽃 명소, 벚꽃길"> 김광부 기자
<서울 중구, "남산 둘레길 벚꽃 명소, 벚꽃길"> 김광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