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자에 들어 재미있는 경제용어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그 중에 하나가 '경제 고통지수'가 될 듯 싶다. 원래 이 용어는 미국의 경제학자 아서오쿤이 처음으로 고안했다고 하는데 흔히 쓰이는 경제용어는 아니다. 하지만 '경제고통'이라는 어휘 자체가 주는 인펙트가 강한 여운을 주는 건 분명하다. 경제고통지수는 특정 시점의 '물가상승률'과 ' 실업률'을 합쳐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이다. 10일, 국회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 힘 추경호 의원이 통계청 자료를 바탕으로 계산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5월 중 경제고통지수는 6,6이었다. 이는 5월 기준으로 2011년 5월의 7,1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다. 지난 달 경제고통지수 6,6은 5월 중 소비자 물가상승률 2,6%와 실업률 4,0%를 합산한 숫치이다. 경제고통지수가 1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는 말을 쉽게 풀이하면 '국민들의 경재적 고통이 10 년 만에 가장 커졌다'는 뜻이된다. 지난 1년의 고통 상당부문의 주범은 '코로나 19'가 될 것이다. 그 나머지 부분의 책임은 국정운영의 문제라는 것이 정치권의 시각일것이다. 5월 기준 2017년까지 3%대였던 실업률은 2018년 이후 올해까지 4%대를 기록하고 있으며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2% 중반을 넘어서면서 경제고통지수를 크게 끌어 올렸다는 분석이다. 추 의원은 확장실업률과 생활물가지수를 더 한 '서민경제고통지수'도 산출해 냈는데 5월 서민경제고통지수는 16,8로 시민들이 체감하고 잇는 경제적 고통의 골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음을 반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