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수출에 활기를 띄고 있는 가운데 국내 컨테이너 물동량의 75%를 소화하고 있는 부산항의 물동량이 13,8%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3일, 부산항 터미널 운영사 집계에 따르면 5월 중 부산 신항과 북항 9개 컨테이너 전용부두에서 처리한 컨테이너는 196만9,237TEU (1TEU= 20피트 컨 1개)로 지난해 같은 달의 173만 92TEU에 비해 173만 92TEU 13,8% 늘었다. 이 가운데 수출입 컨테이너는 90만 6,113TEU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22,5% 급증했다. 수출용 컨테이너 물동량은 45만 3,015TEU로 작년 37만 306TEU보다 22,3% 증가했다. 또 부산항에서 배를 바꿔 제 3국으로 가는 환적화물은 106만 3,124TEU로 작년의 98만 9,014TEU보다 7,5% 증가했다. 부산항의 작년 5월 컨테이너 물동량은 코로나 팬데믹 여파로 2019년 보다 8,9% 감소했고 특히 수출입 화물은 16,9%나 줄었었다. 그러나 올해엔 코로나 팬데믹 이전인 2019년 5월의 191만 7,000TEU 보다도 소폭이나마 증가한 것으로 밝혀져 밝은 신호가 되고 있다. 부산항만공사는 올해 부산항 전체의 수출입화물과 환적화물 물량이 작년보다 각각 2,3% 와 4,2%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