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한국은 세계 명품시장의 '큰 손'...지난해 15조 매출

코로나 19의 장기화로 국민들과 자영업자 등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과는 달리 국내 소비자들의 상당수가 명품 구매에 지나친 애정(?)을 쏟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시장조사 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작년 우리나라 시장에서의 가방, 지갑, 쥬얼리, 시계 등 '명품'매출은 125억 420만 달러, 14조 9,960억원으로 전년의 125억 1,730만 달 러, 15조 1,200억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는 작년 중 전 세계 명품 시장의 매출이 2,869억 '달러로 전년 대비 19,0% 감소한 것과 대비하면 사실상 큰 폭으로 증가한 것과 같은 결과이다. 작년 전세계 명품 매출 2위인 중국이 전년의 294억 1,100만 달러에서 380억 5,500만달러로 급증했고 대만도 71억 7,200만달러에서 75억 5,600만달러로 크게 늘었다. 하지만 세계 에서 가장 큰 미국과 일본,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독일 등은 모두 크게 감소했다. 미국의 경우 839억8,700만 달러에서 652억 3,400만 달러로 22,3% 격감했다. 한국의 글로벌 명품시장에서의 비중은 2019년 8위에서 작년에 독일을 제치고 7위로 올라섰다. 국내 매출을 품목별로 보면 명품 의류가 4조 4517억원, 시계 1조 4,554억원, 지갑 등 가죽제품 3조 9,340억원, 보석류 2조 3,620억원이었다. 특히 샤넬, 루이비통, 구찌, 에르메스, 크리스챤 디올, 페라가모, 프라다 등 10대 명품 브랜드 매출이 4조원을 넘어섰다.
배너
배너

남양주시의회,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 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아시아통신] 남양주시의회는 9일 남양주시의회 소회의실에서 의원 연구단체인‘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의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남양주시 청소년을 둘러싼 정책환경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과 미래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을 보완할 수 있는 개선방안 제시와 새로운 정책 사업 발굴을 통한 실효성 있는 청소년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착수보고회는 대표의원인 전혜연 의원을 비롯한 연구단체 소속 의원들과 용역 수행사 연구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남양주시 청소년정책 일반현황 검토 △유사사례 조사 및 관계법령 검토 △청소년 및 학부모 수요정책 조사 △청소년 정책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등 앞으로의 연구 내용과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참석한 의원들은 “청소년의 기준이나 범위가 개별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나이대별 경계도 감안하여 용역을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하며, “타시군이나 집행부에서 일반적으로 추진하는 용역과는 달리 기존 틀을 벗어난 접근을 해야 효과적인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양주시의회,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 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아시아통신] 남양주시의회는 9일 남양주시의회 소회의실에서 의원 연구단체인‘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의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남양주시 청소년을 둘러싼 정책환경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과 미래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을 보완할 수 있는 개선방안 제시와 새로운 정책 사업 발굴을 통한 실효성 있는 청소년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착수보고회는 대표의원인 전혜연 의원을 비롯한 연구단체 소속 의원들과 용역 수행사 연구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남양주시 청소년정책 일반현황 검토 △유사사례 조사 및 관계법령 검토 △청소년 및 학부모 수요정책 조사 △청소년 정책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등 앞으로의 연구 내용과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참석한 의원들은 “청소년의 기준이나 범위가 개별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나이대별 경계도 감안하여 용역을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하며, “타시군이나 집행부에서 일반적으로 추진하는 용역과는 달리 기존 틀을 벗어난 접근을 해야 효과적인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