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반도체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올해부터 2년 간 관련 전문 인력 4,800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더불어 전 세계적인 패권경쟁에 대응하고자 특별법 제정도 검토할 방침이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4일,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에서 학계전문가들과 간담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반도체 인력양성계획을 밝혔다. 정부는 반도체 산업과 관련한 의견 수렴 및 대안 마련의 기초 자료 확보 등을 위해 지난 9일 업계 대표 및 연구원 등과 면담한데 이어 이날 학계 전문가들과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는 성장관을 포함하여 이종호 반도체공동연구소장, 서울대 황철성, 이혁재, 정덕균 교수, 성균관대 김소영 반도체계약학과장, 연세대 양준성 교수 등이 참석했다. 성장관은 모두(冒頭 )발언에서 "지난 10년 간 반도체 분야에 대한 정부 지원 축소로 교수들을 비롯한 석*박사급 인력이 계속 감소해 왔다"면서 "다만 1조원 규모의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사업이 최근 추진되면서 반도체 산업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 넣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2019년 시스템 반도체 비젼과 전략 발표이후 민과 합동으로 대규모 인력양성에 나서 1,000여명의 인재가 발굴된 것은 큰 성과 라며 이에 탄력을 받아 올해에는 더 많은 우수 인재 양성에 정책의 무게를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반도체 설계교육센터(IDEC), 설계지원센터 등 인력양성인프라를 구축한데 이어 올부터 연세대-삼성전자(연간 50명), 고려대 -SK하이닉스(연간 30명) 등 채용연계계약학과 신입생을 선발해 전문인재 발굴 교육에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