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국제

불로초 찾아 제주도 간 中 서복, 동아시아 인문 교류의 '평화 사절' 역할

한국 제주도의 서복공원 정문. (사진/신화통신) ㅡ 얼마 전 이영근 서복문화국제교류협회 이사장은 제주도 서복공원에서 가진 신화통신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서복은 농경 문명을 포함한 선진 문명을 한국, 일본 등 주변국에 전파하며 동아시아 인문 교류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말했다.
서복공원 내부. (사진/신화통신)

예로부터 제주도에는 '서복동도(徐福東渡)'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야기에 따르면 2천여 년 전 진시황이 불로장생약을 구해 오라며 서복에게 동남동녀(童男童女) 500명을 딸려 영주산(지금의 한라산)으로 보냈다. 서복 일행은 힘든 항해 끝에 마침내 제주도에 도착했고 서복은 상륙지 바위에 '조천(朝天)'이라는 두 글자를 새겼다. 이곳이 지금의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다. '불로초'를 발견한 서복은 귀국하려 했으나 바다에 안개가 짙고 풍랑이 거센 탓에 돌아가지 못하고 일본으로 향했다고 전해진다. 이후 사람들은 서복이 떠난 포구를 '서귀포'라 불렀고 현재 제주도의 서귀포시도 그 이름을 따서 지었다고 한다.

후대에 탁본하여 새긴 서불과지(徐市過之·서복이 이곳을 지나갔다) 글자. (사진/신화통신)

이영근 이사장은 한국에서 최초로 서복의 제주도 행적을 연구하기 시작한 인물 중 하나다. 서복의 자료를 보기 위해 지난 1997년 산둥(山東)성 룽커우(龍口)시를 찾아가기도 한 그는 서귀포시에 특별 연구를 위한 협회 설립을 제안했다. 당시 서복의 이름이 그다지 알려지지 않고 행적의 진위 여부가 의심스럽다는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이에 반대했지만 결국 1998년 협회가 설립됐다.

서복공원 안에 자리한 서복전시관. (사진/신화통신)

이후 협회의 주도로 중·일·한 연구자들이 매년 제주에서 열리는 서복 연구 세미나에 참석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이전까지 20회에 가까운 학술회의가 개최됐다. 서복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게 되면서 기념 활동에 참여하는 제주 도민들도 점차 늘고 있다.

서복전시관 밖에 세워진 석비. (사진/신화통신)

2003년 제주도는 서복전시관과 서복공원을 건립하고 그 안에 서복의 동상도 세웠다. 서복전시관에는 서복에 관한 다양한 자료가 보존돼 있다. 지난 5월 서귀포시는 '서복거리' 지정 기념 행사를 열었다. 행사에 초청된 왕루신(王魯新) 주제주중국총영사를 비롯해 이종우 당시 서귀포시장, 이영근 이사장 등 양국의 각계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 이사장은 서복 관련 행사를 통해 서복과 연관된 역사에 양국 국민의 이해가 깊어지고 양국 간 인문 교류가 촉진됐다고 전했다. 앞으로 협회는 코로나19로 인해 중단됐던 각종 교류 활동을 서서히 재개할 계획이다.

당시에는 천신만고의 노력이 필요했던 여행길이 이제는 한두 시간이면 가능해질 줄 서복은 상상도 못 했을 것이다. 제주도는 이제 중국인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여행지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이 이사장은 일찍이 평화의 사절 역할을 하며 주변국 국민들의 생활 수준 향상에 도움을 주었던 서복의 역사를 젊은이들에게 더 많이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강남구의회, 어린이들과 함께하는 ‘강남 아추 페스타’참석
[아시아통신] 강남구의회(의장 이호귀)는 30일 오전 일원에코센터에서 열린 ‘강남 아추 페스타’(강남 아이들의 추억 만들기)에 참석했다. 이번 행사는 강남구육아종합지원센터와 강남구어린이집연합회가 공동 주관했으며, 어린이날을 앞두고 관내 174개 어린이집의 어린이 및 부모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날 축제에는 이호귀 의장·복진경 부의장·이동호 운영위원장·강을석 행정안전위원장·김현정 복지문화위원장·김광심·전인수·이향숙·윤석민·안지연·박다미·김형곤·김진경·우종혁·노애자 의원이 참석해 어린이 및 학부모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축제는 ▲놀이·공연 중심의 ‘페스타존’ ▲창의력 체험이 가득한 ‘플레이존’ ▲가족이 함께 즐기는 ‘가족존’ ▲생활안전을 배우는 ‘안전존’ ▲건강 먹거리가 있는 ‘푸드존’ 등 총 5개 테마존에서 34개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으며, 온 가족이 특별한 추억을 만들 수 있는 장으로 꾸며졌다. 이호귀 의장은 “축제 현장에서 아이들의 해맑은 웃음을 보며 이 아이들이야말로 강남의 소중한 미래임을 다시 한번 느꼈다”라며, “강남구의회는 앞으로도 아이들이 더 많은 꿈을 키워갈 수 있도록 아동이 행복한 아동친화도시 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