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7 (일)

  • 흐림동두천 18.9℃
  • 구름많음강릉 24.3℃
  • 흐림서울 18.8℃
  • 흐림대전 24.3℃
  • 흐림대구 26.1℃
  • 구름많음울산 27.8℃
  • 구름많음광주 24.2℃
  • 흐림부산 20.8℃
  • 구름많음고창 24.6℃
  • 흐림제주 18.9℃
  • 흐림강화 13.9℃
  • 흐림보은 21.7℃
  • 구름많음금산 23.2℃
  • 흐림강진군 23.1℃
  • 구름많음경주시 27.3℃
  • 흐림거제 20.7℃
기상청 제공

국제

中 수소 충전소 250개 돌파…세계 1위

미쉐린(Michelin)이 지난해 11월 7일 열린 '제4회 중국 국제수입박람회(CIIE)' 전시 부스에서 '미션 H24 (Mission H24)' 레이싱카를 공개했다. (사진/신화통신)

(베이징=신화통신) 중국의 수소에너지 충전소가 250개를 돌파하면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중국 국가에너지국에 따르면 이는 전 세계의 40%를 차지하는 수준으로 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소 충전소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수소에너지 기술 및 산업의 발전을 중요시해 왔다. 현재까지 중국 20여 개 성(省)에서 발표한 수소에너지 발전 관련 문건만 200여 개에 달한다.

 

또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독려 속에 국영기업·민영기업·외자기업 등이 수소에너지 산업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창장(長江)삼각주, 웨강아오 대만구(粵港澳大灣區·광둥-홍콩-마카오 경제권), 환보하이(環渤海) 등을 중심으로 수소에너지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되고 있다.

 

수소에너지 인프라도 늘고 있는 추세다. 화베이(華北)·시베이(西北) 등 지역에서 수소를 활용한 재생 가능 에너지 생산 프로젝트가 적극 추진되고 있으며, 전해수 방식으로 생산되는 수소의 원가가 안정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수소에너지 저장 및 운송 측면에서도 20메가파스칼(MPa) 고압수소저장, 고압 튜브트레일러 운송이 도입됐다.

 

수소에너지가 활용되는 분야도 다양해지고 있다. 전통 화학공업, 철강 등 공업 분야 이외에도 교통·에너지·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범위를 넓혀 가고 있다. 

 

특히 교통 분야의 경우 현재 중국에선 버스와 중장비 트럭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수소연료 전지를 동력으로 하는 수소전기차가 6천 대를 돌파할 전망이다. 

 

이는 전 세계의 12%에 해당하는 규모다.

 

한 전문가는 최근 수년간 중국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기업이 수소에너지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늘리고 있다며 풍력·태양광 발전 등 앞서 추진된 신에너지 산업의 발전 경험을 충분히 참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업의 혁신 역량을 발휘하고 혁신 자원을 통합해 수소에너지 전체 산업사슬 내 핵심 소재·기술·설비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배너
배너


시민과의 약속, 반드시 지켜져야… 공공성 회복된 대책 마련 촉구
[아시아통신] 수원특례시의회 최원용 의원(국민의힘, 영통2·3·망포1·2)은 25일 열린 제39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망포역세권 복합개발사업과 관련한 시민들의 우려를 전달하고, 공공성을 회복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집행부에 강력히 촉구했다. 최 의원은 “망포역 일대는 교통 접근성과 주거·상업 인프라가 집약된 수원의 핵심 성장 거점으로, 시민들은 오랫동안 공공성과 문화성을 갖춘 종합생활문화공간 조성을 기대해왔다”며, “그러나 수원시 재정악화로 부지가 민간에 매각되고 주상복합건물 개발이 예정되면서 시민들의 실망과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희 최 의원은“공공이 주도하는 계획이 민간 개발로 전환되면 지역 내 문화·복지 인프라 부족은 해소되지 못하고, 개발로 인한 교통난은 심화될 것이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 의원은 “올해 말부터 망포역 일대 트램 공사와 대규모 주상복합 공사가 동시에 진행되면, 현재도 극심한 정체를 겪고 있는 영통로와 덕영대로 등 주요 도로는 사실상 마비 상태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최 의원은 문화·복지시설 대체 부지 확보 및 예산 마련, 망포역 일대 교통체증 해소를 위한 조속한 교통 대책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