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어려움 속에서도 수출이 쾌조를 보이면서 국민들의 우중충한 마음을 달래주고 있다. 2월들어 10일까지 수출액이 작년 같은 기간대비 70%가량 급증한 것이다. 15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 사이 수출액(통관기준 잠정치)은 180억 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69,1%인 73억 4000만 달러 증가했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8,5일로 작년보다 1,5일 많았다. 조업일수를 반영한 일 평균 수출액은 39,3% 늘었다. 품목별 수출 동향을 보면 반도체가 57,9%, 무선통신기기 88,0%, 승용차 102,4%,자동차부품 80,6%,석유제품 37,5% 등이 강세를 보였다. 수출 대상국별로는 중국 65,7%, 미국 91,4%, 유럽연합 126,1%, 베트남 64,3%, 일본 43,5%,중동 29, 2% 등 주요시장의 수출 물량이 크게 늘고 있는 추세이다.
포스코는 15일, 탈황설비에적용되는 핵심소재를 국산화, 수입대체했다고 밝혔다. 탈황설비는 화력발전이나 산업용보일러 등 대형 유틸리티공급 설비나 제철소, 정유, 시멘트 공장 같은 주요 산업시설에서 배출하는 황산화물(sox)을 제거하는 친환경 설비이다. 이번에 포스코가 국산화한 강재(强材)는 ○실제 탈황반응이 이루어지는 흡수탑 소재 ○탈황효율 향상과 배출가스 확산기능을 돕는 가스식 열교환기 소재 ○탈황처리 중에 발생한 폐수를 무해화하는 폐수처리조 소재 등 3가지 핵심 분야에 쓰이는 소재이다. 이들 소재 및 시설은 그동안, 탈황설비 내의 높은 부식조건에서 견딜 수 있는 국산 고합금스테인리스 강재가 없었고, 제조에 난이도는 높은 반면 국내 수요는 많지 않아 전량을 수입에 의존해 왔다. 포스코 관계자는 "약 2년 간의 연구 끝에 개발과 실험, 적용 과정을 모두 마치고 최근 국내 한 설비 기업의 현장에 흡수탑 및 영교환기용 강재를 공급" 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이와함께 용접을 포함한 이용기술 솔루션도 제공했다. 국내 보급이 본격화되면서 상당한 수입대체 효과와 함께 수출까지도 기대한 만 하다.
경기도주식회사는 9일 이석훈 경기도주식회사 대표이사가 중국대사관 상무처를 방문해 주한 중국대사관 상무처 구진셩(谷金生, 곡금생) 경제공사와 환담을 나누며 중국 시장 진출에 대하여 중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기 위해 신발 끈을 고쳐 매고 나섰다. 구진셩 경제공사는 연변주 부주장 등을 지내며 한-중 경제 관련 협력을 이끌어온 실력자로 꼽힌다. 경기도와 경기도주식회사는 한-중간 경제협력 확대에 대해 해외 경기비즈니스센터(GBC) 확대 등을 통해 도내 중소기업 해외 진출에 앞장서고 있다. 대사관 측에서도 역시 최근 ‘배달특급’ 등을 통해 화제가 되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에서 기존의 기관들이 하지 못하는 시도를 통해 시장을 만들어가는 모습에 관심이 깊었다며 환담 제안을 반갑게 맞은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 중국 연변주에 위치한 지통온라인창업원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사업추진으로 코로나19에 대비하여 도내 중소기업 판로개척에 앞장서고 있다는 점에 대해 대사관에서는 큰 관심을 가졌다. 특히 이번 환담에서 경기도주식회사와 중국대사관 상무처는 베이징 등 중국 내 주요 도시에 진출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고, 상무처의 적극적인 지원 약속에 경기도주식회사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화답했다.
대한항공이 해외 경쟁국가 가운데 처음으로 터키에서 아시아나항공 인수·합병관련 기업결합을 승인 받았다. 대한항공은 지난 4일부로 터키 당국으로부터 아시아나 항공 인수와 관련한 기업심사를 통과했다고 10일, 밝혔다. 대한 항공은 지난 달 14일 대한민국 공정거래위원회를 비롯해 미국, EU, 중국,일본 , 터키 등 기업결합심사가 필수인 9개 경쟁국에 기업결합 신고를 했다. 대한항공은 임의적 신고 대상국인 영국, 호주 등 5개국에 대해서도 조속한 시일 내에 신고서를 제출하기 위한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가계대룰에 대한 서민들의 목마름은 올해들어서도 '역시나'였다. 정부와 금융당국이 지난해 12월 초부터 그토록 가계대출을 목줄을 죄어도 잠시 짐깐일 뿐 올해 들기가 무섭게 첫 달부터 가계대출 증가세가 가파르다 못해 날아 오르고 있다. 당국이나 금융기관 등이 그 이유를 곰곰히 따져볼 대목이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월 중 금융시장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996조4000억원으로 작년 12월 말보다 7조 6000억원 증가했다. 12월 증가액 6조7000억원 보다 9000억원가량이나 불어난 것이다. 월별 1월 실적치로만 본다면 2004년 통계 작성이래 가장 높은 증가 폭이다. 가계대출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잔액 726조 9000억)은 한달 새 5조원이나 불어 났다. 신용대출이 대부분을 점하는 기타대출(잔액268조 6000억)도 12월 보다 2조 6000억원 증가했다. 한편, 금융위원회오 금융감족원 의 '가계대출 공향'에 따르면 은행 뿐만 아니라 금융권 전체의 1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10조1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과연, 가계대출이 이처럼 '숨이 죽이 않고 있는 이유는 무슨 나변(那邊)에 있는 것일까?
세계 3위의 수출대국 독일이 코로나 19의 여파로 고전 중이다. 독일의 지난해 수출은 코로나 19의 강력한 타격으로 휘청거리며 9,3%나 뒷걸음질 했다. 이같은 수출실적의 마이너스 성장은 세계적 금융위기로 모두사 힘겨워하던 2009년 이후 최악의 상황이다. 10일, 독일연방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독일의 지난해 수출액은 1조2047억 유로(약 1,624조원) 으로 전년 같은 기간 보다 9,3% 급감했다. 이는 최악이었던 2009년의 -18,4%에 이어 두 번째의 최저 기록이다. 작년도 수입액은 1조256억 유로, 한화기준 1,382조원으로 전년비 7,1% 줄어 결국, 무역수지는 그래도 1,791억 유로(약 241조 4000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자국내의 씀씀이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독일의 최대 수출국은 미국이었고 2위가 중국, 3위는 프랑스였다. 다만, 수출액에 있어서는 미국이 전년 동기대비 -12,5%, 중국 -0,1%, 프랑스 -14,6% 감소했다.
미국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 테슬라가 한국자동차부품 업체에 깊은 관심을 두면서 구애(求愛)에 나서고 있다. 이유는 품질면에서는 기타 어는 나라와 비교해도 전혀 손색이 없으면서도 가격면에서 절대적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한국 자동차 부춤업체들은 독일, 일본 부품사와 맞먹는 성능의 제품을 공급하면서도 가격은 90% 안팎으로 저렴하다는 강접을 인정 받고 있다. 그동안 한국의 까다로운 완성차 업체들에 부품을 공급하면서 피나는 노력을 집중한 결과가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으며 러브콜이 몰려들고 있는 것이다. 이미, 데슬라의 경우 중요한 전기차 모델 및 고급차량의 타이어는 한국타이어가 장착되고 있으며, 만도의 조향장치, 한온시스템의 열관리시스템, 대한솔루션의 흡차음제, 엠에스오트텍의 경량화 새시 등이 테슬라 차의 중요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한국 자동차 부풉업체들의 성가가 높아지면서 다른 외국 완성처 업체들의 입질도 한창 뜨거워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해 한국의 전자상거래(이커머스)시장 규모는 전 세계 5위로 조사됐다. 9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시장조사 업체 '이마케터'자료를 활용해 발간한 '글로벌 이커머스 HOT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이커머스 매출은 1,041억 달러로 세계 5위였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9,5% 신장한 것이다. 1위는 중국으로 2조 8000억 달러의 매출고를 기록했다. 뒤를 이어 미국이 7,098달러, 영국 1,936억 달러, 일본 1,870억 달러, 독일 923억 달러 ,프랑스 773억 달러였다. 이밖에 인도(515억 달러), 캐나다(392억달러), 스페인(329억달러) 등이 10위권에 포진했다. 중진공 관계자는 "지난해 코로나 19로 세계적 경기침체를 겪었지만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은 오히려 예외였다"면서 "인택트 소비 증가로 이커머스시장 은 더욱 활기를 띨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시는 코로나 19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5년 간 4조원 상당을 투입해 미래 성장동력산업을 집중 육성한다는 내용을 골격으로 한 '전주형 디지털·그린뉴딜'의 로드맵을 마련했다. 9일, 최명규 전주부시장은 브리핑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선도하고 경제구조를 고도화하기 위해 올해부터 2025년 까지 총 4조 82억원을 투입해 ○디지털 뉴딜 구축 ○그린 뉴딜전환 ○상생연대 뉴딜 등 3 대 정책과 162개 세부과제로 구성된 '전주형 뉴딜종합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뉴딜은 인재,인프라, 경제에 초점을 맞추고, 그린뉴딜전환은 녹색공간, 자원, 산업 분야를 중점화 하게 된다. 상생연대뉴딜은 사회, 고용안전망 강화 등에 촛점이 맞추어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