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팬데믹 속에 자영업자들이 빚더미에 올라 타 위태롭다는 경고등이 켜졌다. 고위험 대출에 대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 것이다. 23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 1분기 자영업자 대출은 831조 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늘었다. 이 같은 대출 증가율은 지난해의 10%에 비해 거의 2배 수준이다. 특히 자영업자 대출은 지난해 1분기 10%를 시발로 2분기 15% →3분기 16% 4분기 17%를 기록한데 이어 올 1분기중 19%를 기록하며 계속해 증가하고 있는추세를 보이고 있다. 업종별로는 여가업이 31%, 도소매업이 24%, 숙박*음식점이 19%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보고서에서 "코로나 사태와 관련하여 정부가 자영업자에대한 집중적 금융지원을 펼치고 있음에 따라 다행히 연체율은 0,2% 선으로 아직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금융지원이 종료되고 시중금리가 상승할 경우 대출연체는 늘어 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비한 금융기관의 선제적 충당금 적립과 정책 당국의 맞춤형 지원 방안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일종의 경고 시그널인 셈이다. 한편, 한은은 자영영업자 중 고위험 가구가 많다는 점을 강조했다. 지난해 말 기준 고위험 대출 가구수를 19만 2,000가구로 집계했는데 이는 지난해 3월의 10만 9,000가구 대비 76%나 불어난 것이다. 이들 고위험 자영업자들이 빌려간 돈은 총 76조 6,000억원으로 한햇동안 38조원 가량 늘어 났다. 표현이 거칠지만 '시한폭탄'을 품고 있는 모양새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