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MZ세대(밀레리얼+ Z세대) 10명 중 7명은 '부*소득의 불평등'을 사회무제로 인식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은 딜로이트 글로벌이 지난 1월28일~2월 18일 사이, 한국을 포함한 세계 45개국 2만 2,928명의 밀레리얼 세대(1983~1994년 출생자)와 Z세대(1995~2003년 출생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22일, 공개했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한국밀레리얼 세대 73%, Z세대 76%가 '사회전반에서 부와 소득이 평등하게 분배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글로벌 MZ세대의 같은 질문에 대한 답변 비율 즉, 밀레니엄 69%, Z세대 66% 를 크게 웃도는 수치이다. 한국MZ세대는 불평등의 주요 원인으로 ○부유층에 대한 호의적인 법과규제, 정책(밀레니얼 45%, Z세대 44%)를 지목했다. 그러면서도 이의 개선을 위한 ○재분배 정책 ○규제 입안에 대해서는 보수적 입장을 취했다. 조사 대상자 중 글로벌 MZ세대 과반이상이 부와 스득 불균형 해소를 위한 방책으로 △평균 임직원 급여와 최고 급여를 받는 경영진 간의 소득격차 축소 법안 마련 △부유층에 대한 높은세금 부과 법안 △최저 임금보장 법안 △최저 생계소득 보장 정책 등에 전적으로 동의하고 있는 데 반해 한국 MZ세대들은 30~40%만이 동의를 표했다. 한편 한국 MZ세대들은 향후 경제 상황이 더 나빠질 것이라고 예상하는 부정적 시각은 작년 43%에서 올해는 40%로 소폭 줄었다. 특히 Z세대는 지난해 45%에서 올해는 38%만이 부정적 답변을 내놔 오히려 경제전망을 밝게 보고 있음이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