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한 사람의 '무급가사노동가치'가 지난 2019년 기준 연 1,380만원에 해당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여성 전체가 창출하고 있는 가사노동의 총합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같은 기간의 명목 국민총생산(GDP)의 25% , 즉 4분의 1을 점한다. 반면 남성 1인의 가사노동가치는 521만원으로 여성의 27,5% 수준이었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게생산위성계정'(무급가사 노동가치 평가)에 따르면 지난 2019년 아동돌봄, 청소, 음식준비 등을 총합한 무급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는 490조 9,000억원으로 5년 전보다 35,8% 늘었다. 이는 명목 GDP대비 25,5%에 달하는 규모이다. GDP 대비가사노동가치 비율은 2004년 22,1%에서 2019년 25,5%까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1인당 가사노동 가치는 949만원으로 5년 새 33,3% 늘었다. 국가 전체로 볼때 .가사노동가치에서 차지하는 여성의 비중은 72,5% 356조원 상당을 차지했고 남성은 27,5%인 134조9,000억원에 머물렀다. 금액적으로는 여성가사노동가치가 1인당 연 1,380만원, 남성이 521만원이었다. 즉 여성 1명이 수행하는 사삿 일의 경제적 비중이 남성의 2,6배에 달한다는 계산이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최근의 상황을 보면 특히 청년 주부들을 중심으로 자녀들에 대한 부모의 돌봄시간 차이가 크게 좁혀지고 있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어 최근의 통계라면 그 간극이 눈에 띠게 줄었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