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하면 무엇보다 바다와 먼 느낌이 든다. 내륙지방이라는 고정관념 때문이다. 이런 지역적 특성을 최대한 활용해 충북도가 '내수면 어업 활성화'의 기치(旗幟)를 높이 치켜들었다. 충북도는 11일, 내수면 어업활성화를 위해 2025년까지 715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투자 목적은 연어장을 비록한 4개분야 32개 사업을 집중 육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4개 부문 가운데 연어양식의 경우를 보면 2019년 기준 국내 연어 수입량은 3만 8,000톤에 달한다. 2010년 9,374톤 대비 무려 400%이상 증가할 만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대표적 어종이다. 도는 이같은 추세를 감안해 2014년까지 양식 연구센터를 건립하고 2029년까지 연어양식장을 4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 때가 되면 생산량이 1천톤 규모로 커지면서 460억원 상당의 경제적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흰다리새우와 뱀장어의 생산량도 2016년까지 각각 90톤과 150톤까지 증산한다는 목표이다. 이밖에 내륙어촌의 재생사업을 내년까지 완료해 어가수입을 늘리고 수산식품* 산업 육성, 내수면 어업 인적자원 육성 에 힘을 집중키로 했다. 도 관계자는 "최근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한다는 방침을 결정한 이후 이의 대안으로 내륙민물어류에 대한 관심이 고 조되고 있다"며 "방사능으로 부터 자유로운 내수면 어업을 집중 육성 키로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