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정상수업의 장애에 따른 '고3구제책'의 일환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최저학력 기준'을 완화하는 대학들이 늘고 있다. 서울대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지역균형전형'에서 대학수학능력(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완화키로 했다. 또한 서강대와 중앙대도 수능최저학력기준 와화에 동참한다고 선포하고 나섰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은 지난 9일 '2022학년도 대입전형시행계획 변경사항'을 발표하면서 '최저학력기준 완화'를 대학 자율에 맡긴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코로나 19 상황을 고려해 총 56개 대학이 최저학력기준을 완화하거나 실기고사 종목을 축소하고 전형 일정도 변경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대는 지역균형선발전형(음대제외)에서 '국어* 수학*영어* 탐구4개 영역 중 3개이상 2등급이내'이던 수은학력최저기준을 '3등급이내'로 완화한다고 밝혔다. 서강대는 고교장추천전형에서 '4개 영역중 3개 등급합6이내'였던 것을 '7이내'로 낮췄다. 자연계열(약학부 제외)은 '7이내'인 것을 변경하지 않는 대신 탐구영역을 '2과목 평균'반영에서 '상위 1과목'으로 변경했다. 중앙대의 경우는 제 2캠퍼스도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완화키로 했다. 입시 전문 기관들은 "코로나 19 상황뿐만 아니라 통합형 수능에서 문과생이 수능 최저학력 기준에서 불리해진 것을 감안한 조치"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