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화상병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이다. 확산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정부가 초비상 사태에 돌입했다. 작년까지만 해도 경기도와 충남북, 강원 중심이었던 발생 양태가 올해는 우리나라 사과 주산지인 경북으로 번지는 추세여서 방역 당국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9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전 날 기준 전국 5개도 19개 시*군의 농가 313곳에서 과수화상병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피해 면적은 152,5ha이다. 작년에는 744곳, 394,4ha에서 피해가 발생했었는데 이 과수병이 가을까지 이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의 피해 규모는 지난해 수준을 크게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 초기 방제에 역점을 둬야 한다는 이유이다. 지역별로 보면 충북이 181곳으로 가장 많고 경기 62곳, 충남 58곳, 경북 8곳, 강원 4곳이다. 이 과수병은 예방*치료용 약제가 없다. 일단 병에 걸리면 나무를 뿌리째 뽑아 땅에 묻기 때문에 '과일나무 에이즈'라고도 불리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