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가 폐암등을 유발한다고 목이 쉬라고 외쳐도 끽연자는 오히려 늘고 있다. 담배의 마력때문인 모양이다. 원래 전자담배는 선뜻 담배를 끊지 못하는 끽연자들에게 시간을 끌며 금연의 기회를 부여키 위한 보조제로서 개발됐다. 유해성도 대폭 낮춰 끽연의 만족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하지만 전자담배의 또 다른 유해 성등이 노출되면서 정부는 수입규제 등 이의 제동에 들어갔다. 전자담배에 규제가 가해지자 느닷없이 이번에는 캡슐담배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청소년과 여성 메니아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중이다. 캡슐 담배는 과일향과 커피향 등이 나는 가향담배로서 전자담배와는 달리 기존 일반 담배가 지니고 있는 유해물질를 그대로 보유하고 있다. 향기만 있을뿐이지 일반 담배와 다를 것이 없다. 가향 담배 시장은 10년 새 15배 이상 커졌다. 시장이 커지자 KT&G, 한국필립모리스,BAT코리아 등 담배 업체들이 앞다퉈 관련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2일, 국회입법조사처에 따르면 지난해 캡슐담배 판매량은 11억갑으로 2011년 7,000만갑 대비 15배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담배 판매량에서 캡슐담배가 차지하는 비중은 1,6%에서 무료 30,6%로 치솟았다. 지난해 흡연자가 구매한 담배 3갑 중 한갑이 캡슐담배였다는 계산이다. 현재 국내에선 과일향과 커피향등이 나는 30여종의 다양한 캡슐담배가 판매되고 있다. KT&G가 에쎄, 레종, 더윈스카이 등 냄새저감 신제품등를 주축으로 가향담 배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뒤를 이어 한국필립모리스, BTA코리아, JTI코리아 등이 경합하고 있다. 업계관계자는 "전자담배 규제가 계속되자 담배업체들이 규제 사각지대에 있는 캡슐담배 시장에 집중하고 있다"며 "향이 첨가된 캡슐담배의 주 고객들은 여성과 청소년들"이라고 귀뜸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만 13~39세 흡연자 가운데 65%가 가향담배를 피우고 있으며 가향담배 흡연자 중 73,1%는 여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