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몸김치'파문이후 중국산 김치의 국내 통관 검사가 강화됐다. 이 결과 식중독 균 검출 사례등으로 중국산 김치들이 무더기로 적발되는 등 문제가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관세청과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은 올해 초에 발생한 '알몸 김치 동영상' 파문이후 중국산 김치에 대한 국민적 불신과 우려를 감안하여 통관과 검사를 꼼꼼히 챙기면서 부적합 상품을 걸러내고 있다. 식품안전처의 경우 올들어 지난 3월 12일부터 5월 7일까지 중국산 김치 289개 제품(55개 제조업체)을 대상으로 강화된 통관절차를 적용해 검수한 결과 15개 제품(11개 제조 업체)가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고 18일, 식약처는 밝혔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은 배추김치, 절임배추, 김치원재료 제품이었다. 식약처는 식중독균인 '여시니엔 테로콜리타카'(이하 여시니아)를 등이 발견됐다. 여시니아는 0~5도의 저온에서도 발육 가능한 식중독균으로 설사, 복통두통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식약처는 기존의 검사 대상인 장출혈 대장균, 보존료, 타르색소, 사이클라메이트 등에 대해서도 검사를 실시했다. 여르시아가 검출된 중국산 김치의 제품명은 △배추김치 1 △박향미 대박김치 △서진김치 △초향 김치 △해인 김치 △민수네 김치 △배추김치 2 △맛기찬 트레스터 김치 △들녘김치 △배추김치 3 △산골김치 △선인 배추김치 등이다. 특히 2개 제조업체의 절임배추에서는 보전료인 ;데하이드로 초산'이 검출됐는데 이 보존재는 국내에서는 사용 금지된 보존재이다. 고춧가루와 다진 마늘 등 김치 원재료 120개 제품을 수거해 검사한 결과도 수준 미달이었다. 냉동 다진 마늘 등에서는 세균수가 기준을 훨씬 넘어서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