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회복을 위한 '11월 집단면역'의 꿈을 이루기 위한 전제조건은 우리나라 인구의 70% 약 3,600만명이 코로나 백신을 맞는 것이다. 그런데 국민들 가운데 백신을 맞을 의향이 있다는 접종의향률이 60%를 조금 웃돈다는 정부조사가 나와 접종동의률 상향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는 6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달(4월 27일~29일)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관련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백신 접종의향이 있다 는 비율이 61.4%로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3월 17일~18일 조사치 68.0% 보다 6.6% 포인트 떨어진 수치이다. 아직 코로나 백신은 영유아나 학생층을 제외하고 접종 가능하기때문에 전체 인구의 70%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접종하려면 성인 접종률이 관건이 될 수 밖에 없다. 오 명돈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장은 지난 3일 국립중앙의료원 기자간담회에서 '집단면역 달성 불가'를 예상하며 "우리나라 성인의 80%가 백신을 접종해야 전체 인구의 70%접종이 달성되고 성인 85%가 백신을 맞으면 전체인구의 76.5%까지 접종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성인들 접종 의향이 80%이상 높아져야 집단면역을 통해 일상 생활이 가능해진다는 얘기이다. 그런데 국내 성인들 접종률은 되레 지난달 보다도 더 떨어진 상태다. 이는 희귀혈전(피딱지) 부작용 등의 문제가 붉어진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에 대한 불신이 아직 국민들 사이에 서 회복되지 못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실제로 4월만부터 경찰.소방 인력 등에 대한 AZ백신 접종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들 사이에서 백신 기피현상도 적잖게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종 접종 인센티브 도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