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과연 세계적 억만장자들의 재산 여부는 어떠했을까? 순위는 달라진것이 없을까? 우리와는 별무사항인 것 같으면서도 은근히 관심이 간다. 우선 주요 포인트부터 소개한다면 ▷세계적 억만장자들의 재산은 코로나 19이후 1년 새 50%이상 늘었다는 점 ▷세계 1위 갑부는 1,780억 달러 재산의 아마존 CEO로 바뀌었다는 점 ▷한국인 갑부들의 이름도 여럿 올랐는데 그 중 한국 1위 부자는 141억 달러의 김정주 NXC 라는 것 등이다. 미국싱크탱크정책연구소(IPS)가 지난달 31일(현지시간)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 확산이 본격화한 작년 3월 18일 기준 전세계 억만장자 2,365명이 보유한 재산은 총 8조 400 억 달러였는데 이로부터 1년이 흐른 올 3월 현재, 그들의 재산 총합은 12조 3,900억달러로 무려 4조 3500달러(한화 4,900조원) 이나 불어 났다. 재산 증식률이 54%에 달한 셈이 다. 역시 돈버는 기술이 탁월 한 사람들이다. 그러니까 세계적 억만장자 소릴 듣는다는 생각이 든다. 재산 1위는 제프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로 1년새 57%라는 가공할 만한 재산 증식으로 총 재산 1,780억달러를 보유하고 있다. 프랑스 루이비통 모에헤네시 그룹의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과 그의 일가가 보유한 재산은 114% 늘어난 1,626억 달러를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다. 이어, 일론 머스크 테슬러 CEO 1,621억 달러, 빌 게이츠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가 1,265억달러, 마크저거버그 페이스북 CEO 1,017억 달러, 워런버핏 회장이 965억달러 순이다. 조사 대상이 된 한국인은 38명이었는데 이 가운데 한국인 갑부 1위는 김정주 NXC대표로 141억 달러로 세계 144위였다. 이어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138억 달러(150위),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97억 달러 (236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84억달러로 287위에 랭크됐다. 이 부회장은 상속분을 포함할 경우 재산은 이 보다 훨씬 늘어난다. 재산이 500% 이상 급증한 갑부들도 13명이나 탄생했는데 그 중에 1위는 3,300%나 재산이 1년 새에 늘어난 중국 생수기업 눙프산 취안의 창업자 중상상회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