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정부의 각종 통계에 대한 '신뢰성' 문제는 세월이 그렇게 흘렀음에도 여전하다. '남불내로' 식으로 자기에게 필요한 부분만 거두절미하고 갖다붙여 쓴다는 이유 때문이다. 사실 행정부나 정치권 모두가 경우에 따라 필요한 부분을 끌어다 어떤 현상을 설명하거나 해명하는데 활용하려는 심리가 있음은 우선 인정 가는 부분이다. 법까지도 '코에 걸면 코고리요 귀에 걸면 귀고리'라는 말도 그래서 생겨난 말이다. 최근 국정 감사장의 통계 공방은 정부기관이 내고 있는 감정원 통계와 민간 기관인 KB국민은행등이 내는 통계의 기준과 활용 용도가 '상당히 의도적'이라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한국감정원과 민간기관의 주택 통계의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정부가 세우고 있는 부동산 대책의 성패와 후속 대책의 영향을 가늠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이 공방의 촛점이다. 지난 1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감에서 국민의 힘 송석준의원은 "정부가 내세우고 있는 감정원 통계는 '죽은 통계' 라며 "국민이 실제로 체감하고 예민하게 느끼는 통계는 인기 지역의 집값이나 발표할 것이 아니라 좀 더 정책에 실질적인 통계를 생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감정원 통계는 거래가 활발한 신축 재건축 아파트 등의 실거래 가격 이외에 상대적으로 거래가 뜸한 빌라, 연합주택, 구 주택 등 인근 주택시세를 반영해 통계를 도출하기 때문에 부동산 상승세를 오히려 과소평가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감정원은 이런 통계방식이 호가 등락으로 인한 시장 혼란을 최소화하며 오히려 안정적인 추세를 반영하는 데 큰 몫을 해내고 있다고 해명했다. 일부 여당 의원들도 감정원의 입장을 지지하면서 '정치공세'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