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11.7℃
  • 맑음강릉 17.4℃
  • 맑음서울 13.2℃
  • 구름많음대전 13.1℃
  • 구름많음대구 19.1℃
  • 흐림울산 19.1℃
  • 흐림광주 14.0℃
  • 흐림부산 14.6℃
  • 흐림고창 10.1℃
  • 흐림제주 15.8℃
  • 맑음강화 12.1℃
  • 구름많음보은 13.0℃
  • 구름많음금산 12.9℃
  • 흐림강진군 15.1℃
  • 흐림경주시 20.7℃
  • 흐림거제 17.4℃
기상청 제공

의학/제약

세종병원그룹, 응급의료센터 심포지엄 개최 …수도권 지역 소방 구급대원 등 응급의료 관계자 대상

상처관리, 소아 응급, 급성 뇌졸중, 심근 허혈, 에크모, 대동맥 박리 등 주제 “골든타임 확보 위한 발걸음에 언제나 함께 하겠다”

 

세종병원그룹(이사장 박진식)은 경기·인천·서울 지역 소방 구급대원 등 응급의료 관계자를 대상으로 ‘2023년 부천세종병원·인천세종병원 응급의료센터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전경사진_야간)부천세종병원.jpg

                                                                                             부천세종병원

 

 

이번 심포지엄은 수도권 지역 응급 심뇌혈관 질환 환자 치료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세종병원이 응급의료 관계자를 초청해 관련 분야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나아가 응급진료 체계 발전을 이루고자 마련됐다.

(전경사진)인천세종병원 (1).jpg

                                                                                      인천세종병원

 

 

지난 23일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에는 사전 등록 과정을 거쳐 모두 170명 구급대원과 의료진이 참여했다.

 

강의는 상처 관리, 소아 응급질환의 이해와 처치, 급성 뇌졸중 환자 관리 및 최신 지견, 심근 허혈과 심전도 변화, 에크모(ECMO)의 원리, 대동맥 박리의 이해 등 총 6가지 주제로 구성됐다.

 

강사로는 부천세종병원·인천세종병원 소속 응급의학과, 심장내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소아청소년과, 신경과 전문의가 나섰다.

 

이명묵 부천세종병원장은 “대한민국 유일 심장전문병원 부천세종병원은 지난 41년간 국민의 심장을 지켜왔다. 심장 이상은 생명과 직결하는 만큼 언제나 응급으로 다가왔는데, 이번 심포지엄에 참여한 응급의료 관계자들이야말로 부천세종병원의 소중한 동반자이자 역사 그 자체”라며 “앞으로도 대한민국 응급의료체계 발전을 위해 빛나는 발걸음을 함께 해 달라”고 말했다.

 

오병희 인천세종병원장은 “응급 현장 최전선에서 골든타임을 지키기 위한 여러분의 땀방울은 세상 그 무엇보다 위대하다”며 “응급 의료진이 있기에 오늘도 대한민국의 심장이 뛴다. 골든타임 사수를 위한 발걸음에 변함없이 인천세종병원도 함께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구리시의회 김성태 부의장, 제349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 - 국가유공자 마을버스 무료 이용 지원
[아시아통신] 구리시의회 김성태 부의장은 4월 24일 제349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국가를 위해 헌신한 국가유공자와 상이군경에 대한 교통복지 정책 개선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김성태 부의장은 구리시가 지난 해부터 시행 중인 ‘어르신 교통비 지원 사업’이 별도의 교통카드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국가유공자 복지카드가 비활성화되어 병행 사용할 수 없음을 지적하며, 상이군경들의 일상에 직접적인 불편을 겪게 하는 일률적인 지원 방식을 비판했다. 이어 파주, 하남 등 인근 지자체의 사례와 비교하여 ▲조례 등 제도적 기반 마련 ▲운수업체와의 협약을 통한 시범 운영 ▲노선별 이용 현황 등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한 확대방안 설계 ▲타 지자체 벤치마킹을 통한 구리시에 적합한 실행 모델 구체화 등 상이군경에 대한 교통복지 정책 실현을 위한 단계적인 실행 전략을 제시했다. 김성태 부의장은 “상이군경에 대한 사회적 예우는 단순한 시혜나 복지가 아닌 국가와 지역사회가 반드시 이행해야 할 책무이며 정의와 형평을 실현하는 실천의 문제”라며, “상이군경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실적인 교통복지 정책을 마련하고 제도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