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는 고철구매를 담합한 현대제철, 야마토코리아, 한국철강, 대한제강 등 4개 제강사를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앞서, 공정위는 지난달, 이들 4사를 포함한 7개사에 총 3000억원 이상의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7개사는 지난 8년 간 155차례에 걸쳐 구매팀장 모임을 갖고 실무자끼리 정보를 주고 받으며 고철 구매가격 인하 폭과 시기를 짬짜미했다고 공정위는 판단했다. 이들 7개사 가운데 법위반 정도가 중대하고 경쟁질서를 현저하게 저해했다고 판단되는 4개사를 검찰에 고발했다고 공정위는 설명했다. 이들 4개사의 과징금액수는 현대제철 909억 5800만원, 야마토코리아홀딩스 429억 4800만원, 한국 철강 496억1600만원, 대한제강 346억 5800만원이다.
원/달러환율이 17일 급등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이날 오전 현재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9,2원 오른 1,109,3원으로 호가하고 있다. 환율은 8,6원오른 달러 당 1,108,7원으로 출발했다. 이후 상승폭이 조금 더 커지며 1,110원 선을 넘보고 있는 중이다. 미국국채금리 상승에 연동한 달러 강세의 영향을 받고 있는 양상이다. 미국과 중국 간 경제갈등 재부상 우려도 원화 약세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금융관계자들은 "중국이 희토류 수출 제한을 검토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와 "이를 계기로 미중 갈등이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는 예상등이 겹쳐 환율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고 분석했 다.
국제유가가 미국의 기록적인 한파 영향으로 상승했다. 16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3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1% 0,58달러 오른 60,05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WTI가 종가 기준으로 60달러선을 넘어선 것은 지난해 1월이후 처음이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의 4월물 브랜트 유는 오후 3시 55분 현재 배럴당 0,25% 0,16달러 오른 63,4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미국의 다수 州를 덮친 한파와 폭설로 대규모 정전사태가 빚어지는 등 피해가 잇따른 것이 유가 상승의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일부공장을 오늘(17일)부터 일시가동에 들어 간다. 지난13일 후쿠시마현 앞 바다에서 발생한 강진에 의한 영향때문이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도요타자동차는 일본내 15개 공장 28개 라인 중 9개 공장 14개 라인의 가동을 17일부터 최장 4일간 중단하는 것으로 보도됐다. 언론들은 도요다공장에는 지진의 직접 피해는 없지만 거래처 기업들의 피해로 자동차 생산에 필요한 부품이 부족해진 때문이라고 전했다. 지난 13일 밤 11시 8분께 후쿠시마현 앞바다에서 리히터 규모 7,3의 강한 지진이 발생, 지역 내 일부 공장들이 가동을 중단한 상태이다. ㅣ
한국무역협회 차기 회장으로 구자열LS그룹회장이 사실상 확정됐다. 구회장이 정기총회를 거쳐 공식 선임되면 15년 만에 민간 출신 무역협회 회장이 탄생하는 것이다. 상정, 논의한 끝에 구자열 회장을 차기 회장으로 추대하기로 의경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무협 회장단은 33명의 기업 총수와 대표들로 구성돼있다. 오는 19일 정식회장단회의에서 구회장을 추대하고,24일의 정기총회에서 이를 의결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 정의선회장과 포스코 최정우 회장이 수소산업생태계 구축 및 향후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이들 두 회장은 16일, 경북 포항 포스코 영빈관인 청송대에서 '수소산업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국간판기업의 총수들이 글로벌 수소 시장 선점을 위해 손을 맞잡은 것은 이번이 처음의 사례이다. 우선 두 회사는 업무협약 후, 포스코 포항 및 광양제철소에서 쓰는 업무용 차량 1,500대를 수소전기차로 교체하고, 제철소 내에 수소충전소를 짓기로 했다. 이와함께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물(水)을 전기분해해 추출한 친환경 '그린수소' 생산기술도 함께 개발하기로 했다. 또, 수소연료전지 발전 사업을 곤동 추진하고 해외수소사업 의 기회를 함께 모색하는 등 협력 범위를 넓혀 가기로 합의했다.
지난해 한국제조업의 허리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국가산업단지의 각종 산업경제지표가 코로나19의 충격으로 크게 흔들린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고용, 수출 지표들이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16일, 한국산업단지공단의 '주요국가산단 산업동향'에 따르면 서울, 반월, 시화, 남동,구미, 창원 등 전국 38개 국가산단의 지난해 생산실적은 451조 4,799억원으로 전년도 486조 6,622억원보다 35조원이상 줄었다. 수출실적은 2019년 1,530달러에서 지난해에는 1,384억 달러로 9,5% 감소했다. 고용인원 역시 작년 12월 기준 96만 8,255명으로 1년 전보다 무려 2만여명 줄었다. 창원산단의 경우 7,000명,서울산단 5,000 명, 반월 3,000명, 구미산단 2,500명 줄었다. 한때 가동율이 70%선을 위협 받기도 했으나 지난해 하반기 이후 차츰 회복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어 그래도 희망적 요소로 평가된다.
홍남기경제부총리 겸 기회재정부 장관은 16일, 코로나19 방역조치에 따른 손실보상제 마련에 대해 "정부의 큰 그림이 늦어도 4월 경에는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손실보상은 법으로 제도화하는 것에 정부도 동의하고 있다"면서 "범부처 테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연구용역을 진행중에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도 나름대로 속도를 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통상 연구용역은 6개월 이상 걸리는데 몇개의 출연기관에 최소한 3월 말까지는 연구용역을 끝내고 자료를 제출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관계부처 T/F 에서는 ○손실보상대상 ○기준 ○규모 ○법과 시행령에서의 적용문제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 될 것 이라고 덧붙였다.
신세계그룹의 벤처캐피탈인 시그나이트파트너스는 동남아시아의 차량호출,배달, 금융서비스 플랫폼인 '그랩'에 투자했다고 16일 밝혔다. 투자규모 및 조건등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신세계 그룹에 따르면 '그랩'은 2012년 차량호출서비스 업체로 시작한 이후 음식과 식료품배달, 금융서비스까지 사업을 확장하며 '동남아의 우버'로 불리워지고 있는 기업이다. 시그나이트파트너스는 지난해 7월 출범이후 미국 패션기업인 '인타이어 월드'에 투자한 것을 비롯하여 현재까지 패션테크기업인 '에이블리코퍼레이션'과 부동산 개발 및 임대관리기업인 '홈즈컴퍼니'등에 투자한 바 있다. 정유경 신세계총괄사장의 남편인 문성욱 신세계톰보이 대표이사가 시그나이트파트너스의 대표를 겸임하고 있다.
전국주유소 휘발유 가격이 지난주에도 올라 연속 12주 상승세를 이어갔다. 16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2월 둘째주(2,8~11)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주보다 3,9원 오른 L당 1,455,9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1월 말부터 휘발유 값이 계속적으로 오르고 있는 것이다. 국내 최고가 지역인 서울은 전주보다 6,5원 올라 L당 1,536,4원으로 전국 평균가보다 80,5원 비쌌다. 최저가 지역인 대구는 전주보다 3,4원 올라 L당 1,435,4원이었다. 경유값도 오름세를 이어가면서 전주보다 3,8원오른 L당 1,256,2원을 기록했다. 국제유가도 2주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