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강한 글로벌 기업들의 틈바구니에서 '토종 탄소섬유'를 무기로 세계시장에 도전하고 있는 효성첨단소재가 한화솔루션에 약 1,600 억원 규모의 고강도 탄소섬유를 공급한다. 효성첨단소재는 6일, 올해부터 6년 간 고강도 탄소섬유 공급을 위한 한화솔루션과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고강도 탄소섬유는 수소차랼용 연료 탱크를 보강하는데 쓰이는 주요 자재이다. 탄소섬유는 기존 소재보다 친환경적이고 안전성이 탁 월해 압축천연가스(CNG)나 수소연료탱크 등의 제조 원료로 쓰인다. 탄소 섬유로 연료 탱크를 감싸면 고압축을 견딜 수 있다. 특히, 기존 금속 탱크 보다 가볍고 탄소배출량을 경감시킬 수 있어 자동차 첨단화를 위한 핵심 소재로 각광 받고 있다. 이 시장은 지금까지 미국과 일본이 주도해 왔다. 효성첨단소재는 지난 2008년부터 탄소섬유개발에 착수하여 2013년 국산 개발에 성공해 '탄섬'이라는 브랜드로 세계시장을 공략 중이 다. 한편, 효성첨단소재는 2028년까지 전주공장에 1조원을 투입하여 연 2만 4,000톤 규모의 탄소섬유 생산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확산 추세에 있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은 우리에게 많은 걸 느끼게 한다. 아직까지 정확한 숫자가 밝혀지진 않았지만 인간의 세포는 10조셀(조각세포)에서 최고 100조개의 세포로 구성됐다고 한다. 자동차 역시 세분류하면 1만여개가 넙는 작은 부속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 하나 하나의 세포와 부속들이 온전히 결 합 내지 융합되었을 때 비로소 정상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사회구조도 마찬가지이다. 이래서 강조되는 화두(話頭)가 '균형 발전' '상생' '공동번영' '동반성장' '상호보완'등이다. 차량용 반도체는 지금까지 대만의 글로벌 기업이 거의 과점하고 있었다. 이 회사가 수습난을 빚게 만든 장본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고급 자동차와 신형 모델 등의 출시가 폭증하면서 일시적으로 차량용 반도체의 수급에 문제가 생겼는지, 아니면 어떤 전략적 의도에서 수급을 조절하고 있는지는 확인 할 길이 없지만 어떻든 중요 부품과 소재 하나 때문에 소위 첨단공장이라는 세계적 자동차 공장들이 잇달아 휴업등 가동 중단 및 조업제한에 나설 수 밖에 없는 지경이 연출 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와중에, 현대자동차도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으로 생산에 차
국내 외환보유액이 사상최대기록을 냈던 지난달에 비해 약 14억달러가 줄어 든 것으로 집계됐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4,461억 3만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던 2월 말의 4,475억 6,000만달러에 비해 14억 3,000만달러 줄었다. 한은은 외환보유액 감소 이유를 美달러화가 강세를 지속함에 따라 기타 통화지표 외화자산의 달러화 환상액이 줄어든 숫치 변화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은 7,000만 달러 감소한 35억 1,000만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金은 전월과 같은 47억 9,000만 달러였다. 국별 외환보유액 규모로는 2월 말 기준 중국이 3조 2,050억 달러, 일본이 1조 3,794억 달러, 스위스 1조 749억달러 등에 이어 한국은 8위 수준이었다.
우리나라 조선업체들이 올 1분기에 작년 동기의 10배에 달하는 엄청난 물량을 쓸어 담으며 당당히 세계 1위의 조선강국의 위용를 과시한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 같은 기간, 코로나 19 사태로 세계 발주물량의 10%에 턱걸이했던 수주 점유율이 올해엔 전체의 절반 이상을 끌어 담으며 경쟁국들을 압도했다. 5일, 영국의 조선 및 해운시장 분석업체인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세계에서 총 1,024만 CGT(표준선 환산톤수 323척)가 발주된 가운데 한국은 532만 CGT(126척) 을 수주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은 지난해 1분기 전 세계 발주물량 397만CGT 중 55만 CGT를 가져오는데 그쳤다. 1년 전과 비교해 수주량이 10배 이상 급증한 것이다. 이에 따라 14%에 머물던 수주 점유율 이 올해 1분기 52%로 뛰어 올랐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 1분기 수주실적은 조선 호황기였던 2006~2008년 이후 1분기 기준 최대 기록이다. 아울러 우리나라는 1분기 전세계 1위 선박 수주 국가로 기록을 남겼다. 선박 수출도 쾌조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비 29% 증가한 73억 5,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2016년 이후 최대 실적을 올렸다. 세계 조선
기업경영과 관련하여 일종의 좌우명같이 회자되고 있는 말이 있다. 그것은 "어렵다고 생각될 때 연구개발(R&D)투자에 전념하라"는 말이다. 국내 100대기업들은 지난해 코로나의 어려운 경영 여건 속에서도 49조원이 넘는 엄청난 돈을 연구개발에 쏟아 부었다. 사상최대 규모의 R&D 투자이다. 반도체와 정보통신(ICT) 등 기존 사업 영역이 아닌 미래차와 수소, 항공우주 등 신산업 분야에 집중적으로 재정을 쏜 것이다. 새로운 먹거리를 확보하겠다는 집념이 그대로 느껴진다. 5일,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2019년 매출 기준 상위 100대 기업(금융 및 공기업 등제외)은 지난해 49조 4,736억원을 R&D분야에 투자했다. 전년의 46조 1567억원에 비해 3,7% 늘어난 것이다. R&D투자가 1조원을 넘어선 '1조원 클럽'에 현대모비스(1조 130억원)가 새로 진입하면서 총 9곳으로 늘었다. 삼성전자가 21조 2,292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LG전자가 4조 335억원, SK하이닉스 3조 4,819억원, 현대자동차 3조 1,085억원, LG디스플레이 1조 7,400억원 순이다. 이들 기업들의 막대한 연구투자비 투입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지위
1995년 모바일 사업을 시작했던 LG전자가 스마트 폰 사업을 접는다. 26년 만에 LG스마트 폰이란 이름이 역사의 한 페이지 너머로 사라는지는 것이다. LG전자는 5일, 이사회를 열어 MC사업본부의 담당했던 모바일 사업에서 철수하기로 의결했다. 사업매각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검토해 보겠다고 밝힌지 2개월 만에 최종 결정을 내리고 마지막 정리 작업에 들어갔다. LG전자는 모바일사업 폐지와 관련하여 그 이유를 "사업경쟁 심화 및 지속적인 사업부진"이라며 "내부 자원효율화를 통해 핵심 사업으로서의 역량에 집중하고 사업구조를 개선 하기 위한 것" 이라고 설명했다. LG전자는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초콜렛 폰' '샤인 폰' '프라다 폰'등을 앞세워 휴대폰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국내 휴대폰 시장에서 선두인 삼성전자를 위협할 만큼 무 서운 다크호스였다. 한편, LG전자는 통신사 등에 계약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5월 말까지 휴대폰을 생산하고 휴대폰 사업 종료 이후에도 구매고객과 기존 사용자가 불편을 겪지 않도록 충분한 사후 서비스를 지속할 방침이다. 사업 종료에 따른 협력사 손실에 대해서도 보상 문제 등을 지속적으로 협의한다는 계획이다.
대한항공이 코로나 19로 인한 유동성 위기 탈출을 위해 추진해온 자회사 왕산레저개발 매각이 무산됐다. 대한항공은 2일, "지난해 11월 칸서스자산운용과 미래에셋 대우를 우선협상대상으로 선정해 매각협의를 진행했지만 본계약 체결 협의는 이르지 못해 우선협상자 지위종료를 통보했 다"고 공시했다. 이어 "왕산레저개발의 지분매각은 지속해서 추진할 게획"이라고 밝혔다.
현대차와 기아가 지난 달, 미국시장 자동차에서 월단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펄펄'날았다, 특히 1분기 전체 판매량은 GM, 포드 등 경쟁 브랜드들을 압도하며 향후 월 15만대 판매 가능성까기 기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과시했다. 현대차는 지난 달 미국에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무려 117,3% 증가한 7만8,409대 (제니시스 포함)를 판매했다. 법인과 렌터카 업체들에 공급하는 플리트 판매는 48% 감소했지 만 일반고객을 대상으로하는 소매 판매가 153% 늘면서 실적을 한껏 끌어 올렸다. 모델별로는 투싼이 1만 5,744대, 아반떼 1만 2,453대, 싼타페가 1만 1,538대나 팔렸다. 특히, 팰리세이드는 9,184대, 코나가 1만 416대로 역대 월간 최대 판매 실적을 올렸고 GV80은 1,636대로 출시 이후 최고 기록을 적었다. 기아도 맞장구를 쳤다. 월간 최대치를 팔았다. 3월 총 만매 댓수는 6만 6,523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46% 증가했다. 모댈별로는 K3가 1만 459대, 스포티지가 9,491대, K5가 8,715대 판매를 기록했다. 셀토스는 6,497대가 팔려 나가면서 역대 월 최고 판매고를 기록했다.
국내 완성차 5사의 3월 중 내수 판매가 크게 늘었다. 코로나 19로 짓눌렸던 심리가 자동차 구매를 통한 욕구해소와 계절적 요인 등이 겹쳐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3월 중 판매 실적은 총 67만 2,611대로 전년 동기대비 11,9%, 특히 전월 대비는 23,5% 나 크게 증가했다. 이중 내수는 14만 969대로 전월대비 39,1% 늘었다. 수출 역시 53만 1,642대로 19,9% 늘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내수판매의 3월 중 호조는 비수기인 겨울이 물러나고 계절이 바뀌면서 소비심리가 활발해 진 때문이다. 업체별 동향을 보면 국내 완성차 5사의 판매량이 기대 이상으로 늘었다. 이 같은 추세가 좀 더 이어진다면 그동안 여러가지 이유로 어려움을 겪었던 자동차 업계의 생산 및 경영 전반에 충분한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는 3월 중 국내시장에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3% 증가한 7만 3,810대를 판매했다. 그랜저가 전월비 7,6%늘어 9,217대를 팔았다. 아반떼 8,454대, 쏘나타 6,233대가 뒤를 이었다. 기아는 3월 중 국내에서 5만 1,011대를 판매했는데 이는 전월비 35,7% 나 늘어난 수치이다. 카니발이 총 9,52
쌍용자동차가 마지막 희망을 삼고 있는 美 유력투자자와의 협정이 사실상 실패 상황으로 내 몰렸다. 유력한 투자 상대인 미국 HAAH 오토모티브가 당초 법원이 정한 시한인 3월 31일(현지시간)까지 투자결정 여부에 대한 의사표시를 하지 않았다. 1일, 쌍용차에 따르면 HAAH는 이날 오후까지 쌍용차에 투자의향서(LOI)를 보내지 않았다. 하지만, 쌍용차는 이 상황에서 "아직 HAAH와 협의 창구는 열려 있다"며 LOI를 기다려 보겠다는 입장이다. 법원 역시 아직 HAAH와의 협의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면서 바로 회생절차를 개시하기보다는 쌍용차에 조금 더 시간을 줄 것으로 관측된다. 안타까운 상황이지만 쌍용차의 법정관리를 위한 마지막 '초(秒) 시계'가 채깍이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