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

무릎 줄기세포 치료, 중기 관절염에 효과 좋다

내시경 통한 제대혈 줄기세포 재생술로 무릎 연골 재생..

 

 

<허동범 연세스타병원 병원장> 무릎 연골은 사용할수록 닳는다. 무릎 연골이 닳게 되면, 무릎 뼈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마찰이 생기고 통증이 유발되는 관절염으로 발전된다. 서양인들에 비해 관절염이 많이 생길 수 밖에 없는 우리의 생활 습관도 한 몫한다. 식탁이나 소파를 사용하는 입식 생활보다 바닥에 앉는 좌식 생활 및 양반다리를 하는 까닭이다. 사무직, 운전직 종사자들은 앉아 있는 시간이 많다.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 가사노동 등을 할 때 잘못된 자세로 장시간 앉아 있게 되면 관절염은 더 심해진다. 운동부족, 과식 등으로 인한 비만도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퇴행성 관절염은 무릎 연골의 노화로 인해 발생되지만 젊은 층에서도 많이 발생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보면, 2020년 퇴행성관절염 환자 중 20대는 71,193명, 30대는 115,202명, 40대는 289,103명이었다. 2040 세대에서 475,498명이 아팠다. 월별로는 5월~7월에 퇴행성 관절염 환자가 가장 많았다. <2020년 퇴행성관절염 연령별 통계_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세스타병원 허동범 병원장(경희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외래교수)은 “좌식생활이 보편화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문화로 인해 서양에 비해 관절염 환자가 많은 편이다. 무릎 관절염은 남녀노소를 떠나, 무릎을 자주 사용하는 분들에게 많이 나타난다. 좌식 생활은 무릎뿐만 아니라 척추, 고관절 등의 질환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앉아 있어야 한다면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이 좋다. 특히 좌식의자 앉아 오래도록 컴퓨터를 하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무릎 퇴행성 관절염은 1~4기로 진행되면서 관절 안쪽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또한 뼈의 돌기가 자라고, 딱딱해지는 것을 진행 정도에 따라 확인할 수 있으며 무릎 관절 내부인대, 반월상 연골판 파열 여부와 연골과 같은 연부조직 손상 정도에 따라 병기를 구분한다. 통상 1기는 초기, 2~3기는 중기, 4기는 말기로 구분할 수 있다. <퇴행성관절염 병기 구분 _ 연세스타병원 제공> 무릎 관절이 뻣뻣하고 무릎에서 소리가 나거나, 걸을 때 아프고, 수면 전 통증, 앉았다 일어날 때 통증 등이 나타나면 퇴행성 관절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1개라도 있으면 병원을 빨리 찾는 것이 좋다. 피가 통하지 않는 연골의 특성상 자가 재생력은 없다고 봐야 한다. 관절염하면 인공관절을 생각하기 쉽지만, 중증이 아니면 인공관절보다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를 한다. 줄기세포란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신경, 혈액, 연골 등의 특정 세포로 분화되기 전의 상태에 있는 세포다. 줄기세포를 이용하면 몸을 구성하는 조직세포로 분화할 수 있기 때문에 무릎 연골 재생에 쓰인다. 환자 본인에게서 채취하는 자가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치료는 환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효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 태아의 탯줄 혈액인 제대혈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는 연골생성 능력이나 나이에 관계없이 고령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어서 제대혈을 이용한 줄기세포 재생술이 다양한 연령대에 많이 시행되고 있다. 허동범 정형외과 전문의(연세스타병원 병원장)는 “제대혈 줄기세포 재생술은 관절내시경을 이용해서 하는 수술이기 때문에 수술 직후 통증은 많지 않다. 또한 예후가 좋기 때문에 연골이 생성되는 시간 동안 휴식을 취하며 치료를 받으면 건강한 무릎을 되찾을 수 있다. 말기의 심각한 상태의 퇴행성 관절염이 아닌 중기의 관절염이라면 인공관절보다는 제대혈 줄기세포 재생술을 추천한다”고 알렸다.
배너
배너


김영옥 보건복지위원장,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위한‘서울런’지원』추진 적극 환영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옥 위원장(국민의힘, 광진3)은 서울시가 오는 7월부터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서울런’ 시범사업과 향후 사업 확대 계획에 대해 “교육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매우 의미 있는 정책”이라며 적극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서울런’은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와 1대1 멘토링을 무료로 제공하는 서울시의 대표 교육복지 사업이다. 특히 이번 시범사업은 아동복지시설인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멘토링과 학습 콘텐츠 개방, 전용 ID를 활용한 학습관리 기능 강화 등을 포함하고 있어 현장의 실질적 수요에 부응하는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김영옥 위원장은 “교육에서 출발선의 차이는 곧 삶의 격차로 이어진다”라며, “서울런 대상 아동임에도 실제 이용률이 낮았던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이번 시범사업이 추진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실제 교육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 위원장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농협의 민간 후원이 더해진 이번 사업은 민관 협력의 우수 사례로, 서울시 복지 정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며, “시범사업 이후 전면적인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