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통신]
<부안군 위치도>
부안군은 천혜의 자연경관과 역사문화 자원을 바탕으로 영상산업 중심지로 도약하려는 꿈을 꾸고 있습니다.
- 부안군의 영상산업 추진 전략
1. 전주영상위원회와 협력 강화
-
2021년 비대면 업무협약을 맺고 지역 촬영 유치 및 영상산업 활성화를 위해 협력 중입니다. 전주영상위는 제작 유치, 홍보, 컨설팅 등을 담당하고, 부안군은 행정적 지원을 제공하는 구조입니다 .
-
2025년을 목표로 전주영상위와 마케팅, 로케이션 발굴, 행정지원 체계 구축을 논의하는 실무 협의도 이어가고 있습니다 .
2. 부안 영상 테마파크의 역사적 가치
-
부안 영상 테마파크는 2005년 준공 이후 약 150여 편의 드라마 및 영화 촬영 장소로 활용되어 왔으며, 대표작은 넷플릭스 《킹덤》,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추노》《녹두꽃》 등입니다 .
-
테마파크는 조선시대 경복궁 근정전, 양반가, 평민가 등 69동의 세트장이 갖춰져 있으며, 근정전 세트장은 전국 유일이라 영상 업계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습니다 .
-
현재는 보수 및 정비를 위해 임시 휴장 중이나, 향후 촬영·관광·역사교육 시설로 적극 활용할 계획입니다 .
3. 영상문화특구 구상
-
과거 영상문화특구 사업으로 영상벤처센터, 콘텐츠 교육시설, 모바일 제작센터, 영상테마파크 및 체험관광 등을 구축하려 했습니다. 총 445억 원 규모의 계획이었지만, 예산 제약과 외부 투자 변화로 수정이 불가피했습니다 .
-
현재는 특구 운영팀이 폐지된 상태로, 중복 투자보다는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는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는 중입니다 .
4. 향후 계획과 비전
-
부군수는 자연·문화 자원을 활용해 부안을 대한민국 대표 영상 촬영지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반복 강조하고 있으며, 전주영상위와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 유치와 산업 활성화를 추진 중입니다.
-
또한, 전라북도 특별자치도 지정과 함께 K‑문화 교육 산업과 서해안 철도 연결 기반의 교통 인프라 강화 계획도 병행하고 있어, 향후 영상산업과 지역 연계 시너지 가능성이 주목됩니다 .
- 대표 이미지 설명
-
첫 번째 이미지: 부안 격포 해변 지역의 전경—청정한 해변과 주변 경관이 영상촬영지로 적합함을 보여줍니다.
-
두 번째 이미지: 부안군 행정 및 지도—위치, 면적 및 지리적 특성이 시각적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
세 번째 이미지: 새만금과 부안 주변 지도—지금의 지역구조와 주요 촬영 명소와의 거리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
네 번째 이미지: 부안 영상 테마파크 주변 지역—촬영 세트장 인프라와 자연환경이 혼합된 모습입니다.
- 요약 정리
항목 | 내용 |
---|---|
핵심 목표 | 부안군을 국내·해외 영상 촬영의 메카로 성장 |
주요 자원 | 부안 영상 테마파크, 드라마·영화 촬영 풍부, 자연경관 |
협력 구조 | 전주영상위원회와 행정 + 촬영 유치 협업 |
현재 과제 | 영상문화특구 조성 계획 수정 및 조직 재정비 |
향후 전략 | 콘텐츠 제작 유치, 관광과 교육 연계, 인프라 강화 |
부안군은 촬영 경험, 세트장 인프라, 자연자원 등을 바탕으로 영상산업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려는 구체적인 계획을 수행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