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유가 상승이 물가상승률 최대 0.8%포인트 끌어올릴 것이라는 국책연구기관의 예상이 나왔다. 최근 국제 유가가 당초 예상을 넘어 급등하면서 기존 물가상승률 전망치도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다만 유가 상승이 추세적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개발 연구원(KDI)은 6일 발표한 '최근 유가 상승의 국내 경제 파급효과'자료에서 "2021년 유가 상승은 물가 상승률이 0.5~0.8% 포인트 정도 상승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해 경제성장률도 유가 상승폭에 따라 0.4~0.7%포인트 가량 올라갈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KDI가 올해 유가변동을 기준시나리오와 고유가.저유가 시나리오로 각각 나누어 전망한 결과이다. 앞서 KDI는 지난해 하반기에 올해 경제 전망을 예측하면서 국제유가(두비이유기준)가 베럴당 40달러일 때를 가정하고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제시했는데 최근 유가가 급등하면서 시나리오에 변화가 생겼다. 지난해 국제유가는 베럴당 연평균 42.25달러 였으나 최근 통계인 4월 넷째주 기준 평균가격은 베럴당 63.6달러로 50% 가까이 뛰어올랐다. KDI는 국제유가가 여기서 추가로 상승해 베럴당 70달러까지 올라가
포스코 건설이 2차 하도급업체에 지급하는 각종 대금의 체납을 예방하는 협력사에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한다고 6일 밝혔다. 포스코건설은 '하도급 대금직불'에 참여하는 협력사들에 대해 종합 수행도 평가시 가점(2점)을 부과해 입찰 참여 기회를 높여주고 '노무비 닷컴' 이체 수수료로 지원할 방침이다. 지난 해 종합 수행도 평가 가점 평균이 1.7점인 것을 감안하면 가점 2점은 상당한 혜택을 부여하는 것이다. 종합 수행도 평가 우수업체로 선정되면 입찰 우선 참여가 가능하고 계약 보증금 5% 경감 및 복수공종 입찰 참여 허용 혜택도 주어진다. 포스코 건설은 그 동안 공사 계약 때 협력사가 자율적으로 근로자들의 임금계좌를 노무비 닷컴에 등록해 지급하는 방식의 체불관리 시스템 사용을 권장했다. 포스코 건설은 "지금까지 협력사들의 참여도가 낮았는데 이번 파격적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근로자, 장비업체, 자재업 체의 고질적인 체납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카카오가 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거둬들였다. 카카오는 연결 재무제표 기준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79% 증가한 1,575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조 2,580억원으로 45%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2,399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흑자전환 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9,9% 뛰어 올랐다. 지난 해 1분기 영업이익률은 12,5%였다. 카카오의 1분기 프랫폼 부문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51% 늘어난 6,688억원으로 집계됐다. 그 중 톡비즈 매출은 같은 기간 61% 증 가해 3,615억원을 기록했으며 포털비즈 매출은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1% 오른 1,175억원을 냈다. 신사업부문 매출은 카카오모빌리티의 택시사업매출확대와 카카오 페이 결제 거래액 및 금융서비스 확대 등으로 1,898억원의 매출을 일구면서 89% 늘었다. 콘텐츠 부문 매출은 5,892억원으로 같은 기간 38% 불어났다. 유료콘텐츠 매출은 글로벌 거래액이 늘어나며 전년동기대비 80% 성장한 1,747억원을 기록했다.
신세계그룹 통합 온라인몰인 SSG닷컴은 7월부터 충청권으로 새벽배송을 확대한다고 5일 밝혔다. SSG닷컴의 새벽배송은 소비자가 자정전에 상품을 주문하면 다음 날 오전 6시전까지 배송해주는 서비스이다. 현재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운영해오고 있다. SSG닷컴은 7월부터 대전광역시와 세종시, 아산시,청주시, 천안시 등 충청지역 5개도시에서 새벽배송을 시작한다. 이들 지역에서 주문한 새벽배송 상품은 경기도 김포에 있는 온라인 전용물류센터인 '네오003'에서 충 청지역의 스포크 센터(콜드체인시스템을 갖춘 지역 물류센터)로 옮겨진 후 주문자에게 전달된다. SSG닷컴관계자는 "해당지역에 새벽배송에 대한 수요가 있어 시작하게 됐다"며 "항후 대도시를 중심으로 전국 확장을 추가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새벽배송은 그 동안 주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뤄져왔지만 최근 배송 권역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앞서 마켓컬리는 CJ대한통운과 손잡고 이 달부터 새벽배송 서비스인 '셋별배송'을 대전 광역시를 포함한 충청지역 5개 도시로 확대했다. 이에 따라 SSG와 마켓컬리 간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질 게 확실해 보인다.
수소 연료 전지는 운반 및 수송 드론 등의 향후 도심 항공교통(UAM)에 탑재되는 필수 핵심 소재이다. 미래의 먹거리 시장에서 방대한 시장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글로벌 기업간의 치열한 시장 선점전이 벌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상황은 마찬가지로 SK와 두산 그룹이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면서 자칫 출혈과다 경쟁으로 비화되지않을까 우려된다. 수소 연료 전지는 기존 리듐이온전지에 비해 무게가 가벼워 드론은 물론 UAM의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벌써부터 각광받고 있다. SK E&S와 (주)두산은 지난 달 말 부산에서 열린 국내 최대 드론쇼에서 각종 수소 연료 전지를 선보였다. SK E&S는 국제 수소드론 전문기업인 엑센스, 하이리움산업 등과 함께 20여종의 다양한 수소 드론을 전시했다. 한편 (주)두산의 100% 자회사로 세계 최초로 수소 드론을 개발.양산한 두산 모빌리티이노베이션도 수소 연료 전지를 탑재한 각종 드론 을 출시하며 전의(戰意)를 불태운 바있다. 수소 드론은 가볍고 에너지 밀도가 높은 수소를 연로로 사용한다. 기존 리듐이온배터리가 들어간 드론은 30분 정도만 운항 할 수 있지만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하면 1회 충전만으로 2시간 이상 비행 가능하다
미국의 3월 무역수지가 역대 최대 적자를 경신했다. 美상무부는 지난 3월상품* 서비스 등 무역수지 적자가 744억달러(약 83조 6,000억원)로 전월보다 5,6% 증가했다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앞서, 2월 달에 적자 705억 달러로 '역대 최대'기록을 세웠던 마이너스 기록을 한달 만에 다시 쓴 것이다. 3월 무역수지 적자는 블룸버그통신이 예상했전 예측과 거의 같았다. 수입은 6,3% 증가한 2,745억 달러(약 308조 5,000억원)신기록을 세웠고, 수출은 2,000억달러(약 224조 8,000억원)로 6,6%늘었다. 미국의 경제회복에 속도가 붙으면서장남감, 의류, 휴대전화, 가구 등 각종 소비재 수입이 급증한 영향이라고 마켓워치는 분석했다. 특히, 미국의 대중국 상품수지 적자는 11,6% 급증한 277억달러(약 31조 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단일 국가 단위로는 최대폭의 적자 기록이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2.3% 상승했다. 2017년 8월 2.5% 상승을 기록한 이래 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4월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4월 소비자 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107.39(2015년 = 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3% 올랐다. 생활물가지수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식품 등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5% 상승해 2017년 9월 기록한 2.8% 이후 3년 7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작황부진과 조류인플루엔자(AI)여파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두자릿수 상승세를 나타낸 가운데 국제유가가 석유류, 공업제품 가격까지 밀어올렸다.
코오롱인더스트리가 개발한 투명폴리이미드(PI) 필름제품인 'CPI필름'이 중국 스마트 폰 업체 샤오미의 폴더블 스마트 폰에 처음으로 사용된다. CPI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겉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얇은 프라스틱 커버윈도 필름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샤오미 레노버 등 중국정보기술(IT)업체에 폴더블제품 커버원료를 공급하면서 중국 시장의 약 90%를 점유한 상태이다. 기술적으로 절대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데 이는 과거 코오롱그룹이 석유화학을 중심으로한 화섬(化纖)부문에서의 섬유제품 생산 기술 및 노하우가 그 바탕을 이루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코오롱 인더스트리는 샤오미의 첫 폴더블 폰 '미믹스 폴더'의 커버윈도에 자사의 CPI 필름이 적용된다고 4일, 발표했다. 샤오미는 초도물량을 약 3만대로, 연내 목표를 50만 대 규모로 잡고 있다. 가격은 대당 9,999위안(약 172만원)으로 기존 폴더블폰보다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CPI필름은 코오롱 인더스트리가 지난 2019년 양산에 성공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전용 필름이다. 유리처럼 투명하면서도 수십만번 접어도 흠집이 생기지 않아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화면보호에 탁월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내구성이 뛰어
한국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가운데 '기업상속세율'이 가장 높은 나라로 조사됐다. 최대 주주의 주식할증평가를 기반으로 한 명목상속세율로보면 최대 60%까지 올라가 OECD 1위 '高상속세 국가'라는 일본을 제치는 수준으로 순위가 바뀌게 된다. 이 같은 OECD 회원국의 '기업 상승속'관련 통계분석은 최근 故이건희 회장의 상속세 총합이 '세계 최고수준, 역대 최다'라는 외신보도와 맞물려 주목 잗는 뉴스이다. 3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KPMG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자녀에게 기업을 넘겨주려면 최대 50%의 상속세율이 적용된다. 일본의 55%에 비해 2위 서열이지만 최대주주의 주식에 대한 할증률까지 적용하면 한국의 명목 상속세율은 60%로 오히려 일본을 앞지른다. 반면, DECD 36개국 중 13개국은 아예 상속세가 없다. 상속세가 있는 나라 17개국은 자녀에게 상속할때 세율을 낮게 조종해 원활한 기업승계를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도 '기업상속공제제도'라는 게 있기는 하지만 적용 대상이 일부 중소, 중견기업(자산 5,000넉원 미만 중소기업과 3년 평균매출 3,000억원 미만 중견기업)으로 한정돼 있다. 상속세율이 높다는
한국 메모리반도체가 과연 '4년 전의 초호황기'로 되살아나고 있는 것인가?! 반도체 업체들 조차도 최근의 호(好)상황이 믿어지지가 않는 모양이다. 큰 기대 속에서 '꿈'이 아니기를 소원하는 바램도 역역해 보인다. 하지만 현실이다. 메모리 반도체는 한국경제의 버팀목이다. 그동안 쾨속으로 질주하며 한국 수출을 이끌었다. 그런데 4년 전의 '슈퍼사이클'(장기호황)이후 수출 가격이 내리막 길을 걸으며 일각에서는 "이제, 한국의 메모리 반도체 활황 시기를 지나 쇠퇴기에 접어 들었다"는 한계론까 지 제기된 바 있다. 그런데 D램-낸드*플래시 가격이 지난 4월 큰 폭으로 동반 상승했다. 지난해 말부토 가격이 오르기 시작한 D램에 이어 낸드플래시 가격이 6개월 만 에 급상승세로 되돌아 선것이다. 이에 반도체 업체들은 "3년만에 업황이 다시 장기호황 국면으로 전환될 조짐"이라며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가 상승세를 타면서 반도체 수출비중이 큰 한국 수출실적도 3월과 4월 연속으로 '월 기준 최대'를 기록 중이다. 지난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반도체는 지난 달 수출 93억 4,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1년 전보다 30,2% 증가했다. 10개월 연속 상승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