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1 (금)

  • 구름많음동두천 9.8℃
  • 맑음강릉 12.7℃
  • 구름많음서울 11.4℃
  • 맑음대전 12.1℃
  • 맑음대구 12.9℃
  • 맑음울산 12.8℃
  • 맑음광주 12.0℃
  • 맑음부산 13.9℃
  • 맑음고창 11.5℃
  • 맑음제주 15.0℃
  • 흐림강화 10.2℃
  • 맑음보은 11.0℃
  • 맑음금산 11.1℃
  • 맑음강진군 12.6℃
  • 맑음경주시 12.5℃
  • 맑음거제 11.4℃
기상청 제공

창녕군, 2026년도 본예산 7,704억 원 확정... 군의회 제출

전년 대비 8.45% 증가, 정주환경 개선・안전・복지・농업 경쟁력 강화에 중점

 

[아시아통신] 창녕군은 2026년도 본예산안을 총 7,704억 원 규모로 확정해 창녕군의회에 제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8.45% 증가한 것으로, 군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 발전을 위한 핵심 사업들을 중점적으로 반영한 결과다.

 

올해 예산안은 정주환경 개선, 재난・방재 안전 강화, 농업 경쟁력 확보, 문화・체육 인프라 확충, 보건・복지 서비스 확대 등 군민 체감도가 높은 분야에 집중됐다.

 

주요 분야별 세출예산 규모는 △사회복지 1,944억 원(25.2%) △농림해양수산 1,606억 원(20.9%) △환경 1,029억 원(13.4%) △국토및지역개발 451억 원(5.9%) △문화및관광 442억 원(5.7%) △공공질서및안전 206억 원(2.7%) △보건 131억 원(1.7%) 등이다.

 

◆ 정주환경 개선과 도시 인프라 확충

군민 생활편의 증진과 교통 기반 강화를 위해 △남지강변길 공영주차장 조성 20억 원 △창녕읍 옥천저수지 둘레길 조성 10억 원 △화왕산 숲체험 패밀리 테마파크 조성 5억 원 △대합IC 설치사업 30억 원 △성산 대산1지구 급경사지 붕괴위험 정비 10억 원 △도로 포장・아스콘 덧씌우기 등 유지보수 10억 원 등 실생활 밀착형 사업이 반영됐다.

 

◆ 농업 경쟁력 강화와 농촌 활력 회복

창녕군은 2026년도에도 농업・농촌 분야를 핵심 투자 영역으로 설정하고,

△기본형공익직불금 189억 원 △농작물 재해보험료 지원 80억 원 △농촌공간정비사업 92억 원 △농어업인 수당 64억 원 등을 반영했다.

 

또한 올해는 과학영농종합시설 신축 80억 원과 청년 임대농장 조성 30억 원 등 대규모 시설 사업이 집중되면서 일시적으로 농업예산이 증가했다. 따라서 2026년 예산의 표면적 증감률은 낮아 보이지만, 일시적 대형 사업을 제외할 경우 오히려 농업기반과 농촌 활력 예산은 실질적으로 크게 증가했다.

 

◆ 재난방재・안전 인프라 강화

군민 안전과 직결된 재해 위험지역 해소를 위해 △거남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 42억 원 △광산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 30억 원 △계성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 19억 원 △교리지구 풍수해생활권 종합정비사업 60억 원 △중대지구 풍수해생활권 종합정비사업 18억 원 △영산지구 풍수해생활권 종합정비사업 12억 원 반영 등 재난・재해 대응 안전예산을 대폭 확대했다.

 

◆ 환경 및 상・하수도 기반 정비

쾌적한 생활환경과 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해 △생활쓰레기 매립장 2단계 조성 52억 원 △노후 상수관망 정비 58억 원 △하수관로 정밀조사 14억 원 등을 반영했다.

 

◆ 문화・관광・체육 인프라 확충

지역 문화자원 활용과 군민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해 △창녕우포예술촌 조성 20억 원 △창녕박물관 복합문화관 증축 11억 원 △창녕스포츠파크 축구장 시설개선 9억 원 △중부권 파크골프장 조성 28억 원 △이방・유어・도천・부곡・대합 파크골프장 리모델링 24억 원 등이 포함됐다.

 

◆ 보건・복지 분야 서비스 강화

군민 건강과 복지안전망 강화를 위해 △치매안심센터 신축 22억 원 △365안심병동 운영지원 5억 원 △아동수당 22억 원 △부모급여 20억 원 등 돌봄, 보육, 노인, 의료 분야 주요 시책도 충분히 반영됐다.

 

성낙인 창녕군수는 “2026년도 예산안은 군민의 생활 불편을 줄이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실히 다지는 데 중점을 뒀다”며 “특히 생활인구 확대를 위한 문화・관광・체육 분야 투자를 전략적으로 강화해, 군민은 물론 방문객들이 창녕에서 머물며 즐기고 다시 찾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농업 분야는 지난해 대규모 시설 사업이 있었던 탓에 표면적 증감률이 낮아 보이지만 실질적인 농업 기반 예산은 오히려 확대했다”며 “직불금, 농작물 재해보험, 농촌공간정비 등 농업인의 소득 안정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을 더욱 체계적으로 추진해 창녕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창녕군이 제출한 2026년도 예산안은 창녕군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2025년 12월 11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배너
배너


정부·지자체·전문가, 한자리 모여 지방소멸 대응 위한 ‘도농 상생협력 제도화’ 논의
[아시아통신] 정부·지자체·학계·연구 기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지방 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해법을 모색했다. 수원특례시는 19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지방 소멸 대응을 위한 도시–농촌 상생협력 정책토론회’를 열고, 도농 상생협력을 제도화할 방안을 모색했다.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의 공식 콘퍼런스 프로그램으로 진행된 이번 토론회는 수원특례시, 대한민국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인구감소지역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봉화군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지방자치학회, 국토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대도시연구원협의회, 수원시정연구원이 공동 주관했다. “중앙정부, 지방정부, 도시, 농촌이 지방 소멸 함께 대응해야” 개회사를 한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은 “지방 소멸은 농촌만의 문제가 아니라 도시의 지속가능성도 위협하는 대한민국 전체의 문제”라며 “이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도시와 농촌이 하나의 공동체로서 지방 소멸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준 시장은 “수원시와 봉화군이 함께 추진한 ‘청량산 수원캠핑장’ 사례는 도시와 농촌이 신뢰로 연결된, 첫 실천적 도농상생 모델”이라며 “수원-봉화군의 상생협력이 제도적 협력 모델로 자리 잡고, 전국 곳곳으로 확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