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구름많음동두천 5.5℃
  • 구름많음강릉 8.7℃
  • 박무서울 9.0℃
  • 구름많음대전 8.7℃
  • 박무대구 8.7℃
  • 박무울산 11.1℃
  • 박무광주 10.0℃
  • 흐림부산 15.1℃
  • 맑음고창 6.5℃
  • 맑음제주 17.4℃
  • 구름조금강화 7.9℃
  • 구름많음보은 5.8℃
  • 구름많음금산 4.8℃
  • 맑음강진군 8.9℃
  • 구름많음경주시 7.5℃
  • 구름많음거제 12.1℃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용인특례시, 2026년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자 282명 모집

등록장애인 대상 일반형 108명은 13일부터 21일까지…복지형 174명은 다음달 중 접수

 

[아시아통신] 용인특례시는 ‘2026년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7일 밝혔다.

 

인원은 일반형과 복지형으로 나눠 모집한다. 일반형 일자리는 총 108명(전일제 61명·시간제 47명)을 11월 13일부터 21일까지 신청서를 받는다.

 

복지형 일자리는 174명을 모집하며, 다음달 중 신청서를 접수한다.

 

일반형 일자리 중 전일제는 주 5일(40시간)을 근무하며 월 215만원을 받는다. 시간제형 일자리는 주 5일(20시간)을 근무해 월 107만원을 수령한다. 두 일자리 모두 4대 사회보험을 보장받는다.

 

복지형 일자리는 주 14시간(월 56시간)을 근무하며, 57만 7920원의 급여를 받을 수 있다.

 

모집인원은 일반형 일자리 108명(전일제 61명, 시간제 47명), 복지형 일자리 174명으로 총 282명이다. 일반형 일자리는 13일부터 21일까지, 복지형은 내달 신청서를 접수한다.

 

일반형 일자리 중 전일제의 경우 주 5일(40시간) 근무에 월 215만원(4대 사회보험 포함), 시간제는 주 5일(20시간) 근무에 월 107만원(4대 사회보험 포함)을 지급한다. 복지형 일자리는 주 14시간(월 56시간) 근무에 57만7920원의 급여를 제공한다.

 

직무별 근무장소는 일반형 일자리는 시·구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복지관, 장애인단체 등이며, 복지형 일자리는 복지관과 장애인단체 등에서 근무하게 된다.

 

신청 자격은 용인특례시에 주민등록이 있는 18세 이상 미취업 등록장애인이다.

 

참여 희망자는 참여신청서와 제출 서류 등과 함께 시·구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3개 구 장애인복지관 중 해당 기관을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1차 서류심사와 2차 면접심사를 거쳐 최종 확정되면 내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행정과 사회복지, 사서업무 보조와 환경미화, 급식지원, 바리스타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장애인일자리사업 관련 문의는 용인시청 장애인복지과 담당자와 콜센터에 문의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용인특례시청 홈페이지 고시공고와 채용정보에서 ‘2026년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자 모집 공고’를 참조하면 된다.

 

시 관계자는 “취업 취약계층인 장애인의 사회 참여 확대와 소득 보장 지원을 위해 장애인일자리사업을 수행한다”며 “참여를 원하는 분들의 많은 신청을 바란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채수지 시의원, 미인가 대안학교 22곳…여전히‘관리 공백’상태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채수지 의원(국민의힘, 양천1)은 5일(수) 열린 제333회 정례회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교육청 기획조정실장에게 미등록 대안학교에 대한 실태 파악과 사각지대에 놓인 학생들의 지원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채 의원은 제도권 학교에서 정서적·학업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다른 방식의 학습과 관계망 안에서 회복할 수 있는 대안적 교육공간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현장에서 운영 중인 대안학교 중 상당수가 ‘미등록 상태’로 남아 있으며, 이로 인해 학생의 학습권과 안전, 권리 보호가 충분히 보장되지 못하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현재 서울시교육청에 정식 등록된 대안교육기관은 57개이지만, 교육청에서 파악하고 있는 미등록 대안교육기관은 22개에 달한다. 22년부터 「대안교육기관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며 등록제 기반이 마련되었으나, 서울시교육청은 미등록 기관의 실태조차 체계적으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채 의원은 “미인가 대안학교는 법적 의미에서 ‘학교’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학사 운영 기준 확인이 어렵고, 학비 책정의 적정성 검증이 불가능하며, 교사 자격 및 안전 관리 규정 적용도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