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통신]
<부안군과 신활력 플러스 사업추진단이 실시한 심사원 양성과정반 >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ISO 기반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행정 추진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
1. ISO 심사원 자격 및 ESG 수준 진단 전문가 양성 교육
-
중소벤처기업인증원(KOSRE)이 주말 과정을 통해 부안군 공직자와 유관기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ISO 심사원 자격 및 ESG 수준진단 전문가 양성과정’**을 개설했습니다 .
-
참가자들은 주말에도 구슬땀을 흘리며 교육에 열정적으로 임했고, 교육 종료 후 추가 과정 및 ISO 인증 심사원 양성에 대한 관심도 이어졌습니다 .
2. ‘ESG 행정 선도 도시’ 선언과 지역 활성화 전략
-
부안군은 **‘ESG 행정 선도 도시’**를 선언하고, 지속가능한 지역 활성화를 목표로 권익현 군수가 ESG 행정을 주요 정책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
-
이 교육은 지역 공직자들의 ESG 이해도를 높이고, ‘부안형 ESG 행정’ 구현에 필요한 지식과 기반을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
3. 제2회 부안 ESG 포럼 개최 및 7대 전략 발표
-
2024년 11월 19일, 부안군은 국회박물관에서 **‘제2회 부안 ESG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이원택 국회의원 주최, 월드비전·포스코이앤씨·글로벌ESG협회 주관으로 진행됐습니다 .
-
김병태 기획감사담당관은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부안군의 7대 ESG 전략을 발표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생활인구 10만명 목표 (‘한평生 부안갯벌 보전 프로젝트’)
-
관광 활성화 (‘바다단풍 블루카본 조성’)
-
청년 인재 유입 (‘부싯돌 자립준비청년 지원 프로젝트’)
-
노인·장애인 일자리 확대 (‘살고 싶은 부안’)
-
전국 최초 반값등록금 실현 (‘든든한 부안’)
-
기본소득 지급 (풍력·태양광 기반)
-
기업 유치 및 수소경제 활성화 (새만금 RE100 산업단지)
-
-
이 전략을 통해 연간 관계인구 5,000명 확보, 일자리 500개 창출, 협약기관 50개 유치 등의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
-
또한, 부안형 ESG+N 행정은 기업, 사회적 스타트업, 공공기관, NGO가 함께 참여하는 공동 영향력(collective impact) 구조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
전체 요약
부안군은 ISO 기반 ESG 역량 강화 교육을 시작으로 ESG 행정을 공직사회에 확산시키고 있으며, 포럼을 통해 구체적인 7대 전략을 발표하면서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실천적 비전을 확실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단순히 정책적인 선언에 그치지 않고, 교육과 행사, 정책 전략 모두를 결합한 지속 가능한 행정 모델을 만들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