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통신]
광진구(구청장 김경호)가 21일, 풀만 앰배서더 서울 이스트폴 연회장에서 ‘2025 광진 미래도시발전 전문가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어린이대공원 주변 도시공간 재구조화 전략’의 수립방향에 대해 토론하는 자리다. 도시계획‧건축‧교통‧환경‧조경 분야에 전문가 21명을 초청해 어린이대공원을 미래혁신 거점으로 거듭나기 위한 포석을 까는 날이다.
1973년 개장한 어린이대공원은 50년 넘게 시민들의 사랑을 받아 온 서울 동북권의 마루지다. 그러나 시설 노후화, 지역 간 단절 등 전반적인 재정비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특히, 능동과 구의2동 주변은 도시계획이 크게 제한돼 있어 주차문제와 비좁은 도로로 주거의 질이 떨어졌다.
2022년에 최고 고도지구가 폐지되며 개발의 물꼬를 틀었다. 민선8기 들어 ‘2040 광진 재창조 플랜’을 완성하고 어린이대공원 일대 개발구상을 밝혔다. 화양‧군자권역의 핵심 거점으로 건국대학교, 세종대학교와 연계해 청년창업‧문화공간으로 조성해 서울 3대 청년도심으로 육성한다. 군자역, 아차산역 일대는 상업지역 확대를 통해 자족기능이 강화되고 첨단지식산업과 업무시설이 들어설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아울러, 아차산역 지구 개발과 연계해 접근성을 높이고 인접 주택사업을 통해 주거환경과 편의시설을 같이 개선하는 입체적인 계획을 내비쳤다.
이날 행사는 개회식, 주제발표,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서울시 전문가와 구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등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쳤다.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김진수 특임교수가 ‘어린이대공원 주변 도시공간 재구조화 전략’을 주제로 발표회를 가졌다. 도시공간 혁신, 친환경 명품단지 조성, 여가‧문화의 활동 거점화를 통해 일‧거주‧여가가 조화되는 구상안을 설정했다. 이어 유석연 서울시립대 교수를 비롯해 서울시 활동전문가 8명이 차례로 도시균형발전, 공간구조 개편 등 현안과 과제를 제시하며 심도있는 토론을 벌였다.
김경호 광진구청장은 “오늘은 어린이대공원 주변이 광진구의 미래성장 거점으로 도약하는 아주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바쁜 일정에도 광진구 발전을 위해 참석해 주신 도시계획 전문가 여러분과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 라며 “쾌적한 주거환경과 생활편의시설 확충으로 어린이대공원 일대를 서울형 센트럴파크로 조성해 나가겠다. 구민 여러분께서도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린다.” 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