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통신]

<정읍시 지식산업센터 조감도>
전북 정읍시가 바이오 산업과 청년창업을 중심으로 한 지식산업센터 건립 사업을 순조롭게 추진 중입니다.
-추진 배경 및 목적
-
시는 “바이오·청년창업 허브”로의 도약을 목표로, 공공 임대형 지식산업센터를 건립하여 창업 및 벤처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
특히 바이오기업 육성과 청년기업 유치를 핵심 전략으로 설정하였고, 이를 위해 입주 공간·지원시설을 설계 단계부터 반영했습니다.
-
입지로는 신정동 연구개발특구 내 “첨단방사선연구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독성과학연구소” 등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위치해 있는 곳이 선정되어, 바이오 기술 사업화와 연계할 계획입니다.
- 사업 개요
-
공모 사업명: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2026년도 신규 공공임대형 지식산업센터 건립’ 사업.
-
확보 국비: 160 억 원.
-
전체 사업비: 약 365 억 원 규모로 알려짐.
-
규모 및 구성: 약 60실 이하 기업 입주공간 + 공용지원시설·편의시설 등.
-
일정:
-
올해 하반기 기본·실시설계 착수.
-
2026년 착공 예상.
-
2029년 완공 목표.
-
2030년부터 기업 입주 시작 예상.
-
- 기대 효과 및 특징
-
초기 창업기업부터 성장 단계 기업까지 전단계 기업용 공간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창업 생태계가 강화될 전망입니다.
-
바이오 산업(농생명·의료바이오) 집적 및 사업화 지원 기반이 강화됨으로써 지역 산업 경쟁력이 향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청년창업 기업을 위한 맞춤형 입주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청년들의 지역 정착 및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 유의할 점 / 과제
-
사업 진행 일정이 착공 → 완공 → 입주까지 다소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중간 단계에서의 지원 체계 유지가 중요합니다.
-
실제 입주 기업 확보, 운영 방식(임대료, 지원 프로그램 등), 연구기관·기업 간 연계 실효성 등이 향후 성패를 좌우할 수 있습니다.
-
청년창업 허브로서의 기능 구현을 위해 단순 입주 공간 제공을 넘어 네트워킹, 멘토링, 투자유치 지원 등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