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전북자치도, ‘광역교통권 전환’ 첫걸음…전주권 광역교통 청사진 착수

전주·익산·김제·완주 중심 광역교통계획 수립 착수

 

[아시아통신] 전북자치도가 대광법 개정에 따른 광역교통정책 전환에 발 빠르게 대응하며, 전주권 광역교통망의 미래 청사진 수립에 본격 착수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24일 ‘전주권 광역교통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용역은 국토교통부가 추진 중인 '제5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2026~2030)'에 전북의 핵심 광역교통사업을 반영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로, 대광법 개정 이후 지방 대도시권 확대에 따른 후속 대응의 일환이다.

 

이번 연구용역은 지난 4월 개정된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에 발맞춰 추진되는 것으로, 국토연구원이 수행을 맡아 내년 6월까지 1년간 진행된다. 도는 이번 용역을 통해 도내 광역도로망, 광역철도, 환승시설 등 다양한 사업을 발굴해 국가계획에 반영하여 지역 연계 교통망을 체계화할 방침이다.

 

주요 과업 내용은 △전주권 광역교통 여건 및 수요 분석 △광역교통시설 신규사업 발굴 △사업별 타당성 분석 △중장기 전략 및 국가계획 반영 논리 개발 등이며, 이를 통해 실현 가능성과 정책성을 동시에 확보한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북자치도는 전주시, 익산시, 김제시, 완주군과 함께 광역교통 협의체를 구성하고 전북연구원, 전주시정연구원과의 협업으로 지자체별 수요조사를 진행해 왔다. 또한,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한국교통연구원 등과의 간담회 및 실무협의를 통해 중앙정부와의 정책 연계도 병행 중이다.

 

전북자치도는 이번 용역이 단순한 교통계획을 넘어, 대도시 중심으로 기획되어온 광역교통정책을 지방권으로 확대하는 정책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수도권 중심의 광역교통사업 체계를 벗어나, 지역 현실에 맞는 교통망을 국가계획에 반영함으로써 도민의 실질적 이동권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전망이다.

 

김형우 전북특별자치도 건설교통국장은 “이번 연구는 전북 교통정책의 새로운 기틀을 세우는 중요한 시발점”이라며 “지역 간 교통 연계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국가계획 반영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전북자치도는 오는 8월까지 지자체 수요조사를 마무리하고, 이를 토대로 국가계획 반영안을 국토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쳐 내년 상반기 중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을 확정·고시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이승로 성북구청장, 전통시장 상인과 소비쿠폰 사용 촉진 캠페인
[아시아통신] 서울 성북구가 구민의 생활안정과 골목상권 회복을 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캠페인을 본격 가동하며 현장 소통과 사용 촉진에 나섰다. 28일 성북구는 돈암전통시장에서 소비 릴레이 캠페인을 펼치며 소비쿠폰 사용 분위기 확산에 나섰다. 이 자리에는 이승로 성북구청장을 비롯해 구 직원 그리고 시장 상인이 함께해 구민과 직접 만나 소비쿠폰 사용을 독려했다. 이승로 성북구청장은 “소비쿠폰은 삶의 안정을 돕고, 지역경제에 온기를 불어넣는 실질적 정책 수단”이라며 “현장에서 큰 혼란 없이 운영되도록 성북구 직원 모두가 만전을 기하고 있다” 면서 “성북구민께서도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소비로 마중물 역할을 해주실 것을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원활한 지급과 적극적인 소비로 이어질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돈암시장에서 과일을 판매하는 김*옥 씨는 “아침 7시부터 저녁 9시까지 문을 열고 있지만 하루에 손님이 한두 분 밖에 오지 않는 날도 많았을 정도였다” 면서 “소비쿠폰이 지급되어 다행이지만 서울 전역에서 사용할 수 있어 시장은 그 혜택을 못 받을까 봐 걱정했는데 구청장님과 성북구 직원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