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울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 '요한 슈트라우스 탄생 200주년 기획 연주회' 개최

오는 22일 오후 5시 울산문화에술회관 대공연장

[아시아통신] 울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 요한 슈트라우스 탄생200주년 기획 연주회 ‘2025 신년 음악회’ 개최

2월 22일 오후 5시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울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이 오는 2월 22일(토) 오후 5시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금길동 지휘자의 지휘로 기획연주회 ‘2025 신년음악회’를 무대에 올린다.

 

이번 공연은 요한 슈트라우스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며, 왈츠와 폴카 등 경쾌한 선율을 통해 새해의 희망과 활력을 시민들과 함께 나누고자 기획했다.

 

특히 2025년 새로운 시작에 대한 시립청소년교향악단의 긍정적인 에너지를 선보일 예정이다.

 

주페의 「비엔나의 아침, 낮과 밤」 서곡으로 경쾌하게 무대를 연다. 이곡은 지난 1844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작곡되어 강렬한 오케스트라와 대조를 이루는 첼로의 아름답고 서정적인 독주 선율이 돋보이는 곡이다.

 

이어 봄의 생동감을 담아낸 경쾌한 왈츠인 요한 스트라우스 2세의 「봄의 소리 왈츠」가 연주된다. 봄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왈츠의 명곡 중 하나로 오늘날까지 널리 사랑받으며 봄의 전도사 역할을 하고 있다.

 

1부 마지막 곡은 바로크 음악의 정수라 불리는 비발디의 사계 중 「봄」을 시립청소년교향악단 단원이자 울산대학교 재학생인 이승은 양이 협연한다.

 

이 곡은 가장 유명한 바이올린 협주곡 중 하나로 나른하고 온화한 봄을 경쾌하고 화사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휴식 후 무대에서는 씩씩한 경기병의 모습을 경쾌하게 표현한 주페의 「경기병 서곡」이 연주된다.

 

이어서 「걱정 없이 폴카」 와 「라데츠키 행진곡」그리고 「트리치-트라치 폴카」,「유쾌한 기관차」,「천둥과 번개 폴카」 등 왈츠의 왕이라 불리는 요한슈트라우스 2세의 대표적인 작품들이 연주된다.

마지막 무대는 아르투로 마르케스의 「단존 제2번」이 장식한다.

 

지난 1994년 멕시코 국립대학의 의뢰를 받아 작곡한 관현악곡으로, 라틴 춤곡 특유의 열정적인 리듬이 인상적인 곡이며 멕시코 현대 클래식 음악 작품 중 가장 인기 있고 자주 연주되는 곡 중의 하나이다.

 

공연은 5세 이상 관람 가능이며 입장료는 전석 1,000원이다. 예매 및 공연 문의는 울산문화예술회관 누리집(http://ucac.ulsan.go.kr) 또는 전화 (052-275-9623~8)로 하면 된다.

 

 

 

김기봉 기자 kgb5204@naver.com

배너
배너


최호정 의장, 정근식 교육감의 조희연 전 교육감 광복절 사면 주장에 대한 입장 밝혀 정근식은 조희연의 ‘사면’이 아니라 ‘사과’를 요구해야 한다.
[아시아통신]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이 1일 조희연 전 서울시교육감을 광복절 특사로 사면해 달라고 대통령에게 공개 건의했다. 조 전 교육감은 국가공무원법을 어기고 직권을 남용해 해직교사들을 특혜채용한 것이 확인돼 지난해 8월 대법원에서 징역 1년6개월(집유 2년)형을 받고 교육감직을 상실했다. 형이 확정된 지 1년도 안된 사람을 사면 해달라고 주장하는 정 교육감에게 22년 12월 당시 정부가 한 사면에 대해 민변 회장이 공개적으로 한 주장을 들려주고 싶다. "사면은 사법부가 오랜 시간 재판으로 어렵게 실현한 법치주의를 단숨에 무력화시키는 것이다. 사면권 남용은 삼권분립 위반이고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일이다" 서울교육청은 지금 서울 학생들에게 헌법의 기본 정신 등 헌법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정근식 교육감이 그 선두에 섰다. 학생들에게는 삼권분립 등 헌법 기본 정신을 말하면서, 교육감은 공개적으로 삼권분립을 형해화하는 특혜성 사면 주장을 펴고 있다. 이런 교육감이 학생들에게 헌법을 제대로 이해하고 지키는 민주시민이 되자는 교육을 하는 것이 온당한가. 현직 교육감이, 실정법을 위반해 중형 확정판결을 받고도 제대로 된 사과 한번 없는 사람에게 사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