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페이스북 창시자 마크 저커버그의 비결

 

 

선46(작).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코끼리 바위)">  김광부 기자

 

“저커버그는 고등학교에서 고대 그리스어를 집중적으로 공부했고,

대학에 진학해서 심리학을 전공했다. 페이스북을 지금처럼 키워낸 결정

적인 통찰은 테크놀로지만큼이나 심리학과도 관계가 있다.”

 

파리드 자카리아 저(著) 강주헌 역(譯)《하버드 학생들은 더 이상 인문

학을 공부하지 않는다》(사회평론, 100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선6.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페이스북 창시자 마크 저커버그는 여러 강연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저커버그가 여러 인터뷰와 강연에서 지적했듯이,페이스북이 등장하기

전에는 대부분의 사람이 인터넷에서 자신의 신분을 감추었다. 인터넷은

익명성의 땅이었다. 하지만 페이스북은 누구에게나 진정한 신분으로 자

기만의 문화를 만들어내며 자신의 모습을 친구들에게 자발적으로 드러

내고 싶은 욕구가 있다는 걸 꿰뚫어보았고, 그런 통찰이 인터넷 세계를

바꿔놓은 플랫폼이 되었다.” (100-101쪽)

 

선11.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마크 저커버그의 페이스북은 테크놀로지와 인문학의 결합이었습니다.

“저커버그는 컴퓨터를 속속들이 알았고 뛰어난 프로그래머를 동원해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현해냈지만, 그를 성공으로 이끈 열쇠는 인간 심

리에 대한 이해였다. 그의 표현을 빌리면, 페이스북은 ‘테크놀로지의

산물인 만큼이나 심리학과 사회학의 산물이다.’”(101쪽)

 

선12.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인문학은 현대에 꼭 필요한 ‘공감력’과 ‘창의력’을 줍니다.

그러나 인간에게 가장 결정적인 것, 즉 내가 누구인지? 나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에 대해 정답을 줄 수 없습니다. 무엇보다도 죄용

서와 구원에 관하여, 죽음과 죽음 이후의 세계에 관해서는 인문학이

말해 줄 수 없습니다. 인문학은 명답 정도이고, 성경이 정답입니다.  

 

선15.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너희가 성경에서 영생을 얻는 줄 생각하고 성경을 연구하거니와 이

성경이 곧 내게 대하여 증언하는 것이니라.” (요5:39)

<경건 메일 / 한재욱 목사>

 

선17.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선22.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선24.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선30.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선31.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성40(작).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코끼리 바위)">  김광부 기자

 

선51(작).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선57(작).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삼선암)">  김광부 기자

 

선61.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선65.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선76(작).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관음 쌍굴)">  김광부 기자

 

선92.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선95.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울릉도 비행장)">  김광부 기자

 

선98.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선66.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선68.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선71.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선72.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관음도)">  김광부 기자

 

선84.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죽도)">  김광부 기자

 

선86.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선88.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선89.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선90.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  김광부 기자

 

유49.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섬일주관광유람선)">  김광부 기자

 

선1.jpg

<경북 울릉군,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신비의섬 울릉도, 섬 일주 관광유람선에서 보이는 풍경(도동항 여객터미널)">  김광부 기자

 

 

 

배너
배너


김영옥 보건복지위원장,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위한‘서울런’지원』추진 적극 환영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옥 위원장(국민의힘, 광진3)은 서울시가 오는 7월부터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서울런’ 시범사업과 향후 사업 확대 계획에 대해 “교육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매우 의미 있는 정책”이라며 적극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서울런’은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와 1대1 멘토링을 무료로 제공하는 서울시의 대표 교육복지 사업이다. 특히 이번 시범사업은 아동복지시설인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멘토링과 학습 콘텐츠 개방, 전용 ID를 활용한 학습관리 기능 강화 등을 포함하고 있어 현장의 실질적 수요에 부응하는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김영옥 위원장은 “교육에서 출발선의 차이는 곧 삶의 격차로 이어진다”라며, “서울런 대상 아동임에도 실제 이용률이 낮았던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이번 시범사업이 추진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실제 교육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 위원장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농협의 민간 후원이 더해진 이번 사업은 민관 협력의 우수 사례로, 서울시 복지 정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며, “시범사업 이후 전면적인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