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아폴로 11호 우주인과 달토끼

 

 

월5(작).jpg

<충북 영동, 달도 머물다 간다는 "월류봉 겨울 풍경">  김광부 기자


“달에 토끼가 산다는 이야기는 우리나라와 중국,일본뿐 아니라 인도나

중앙아메리카 설화에도 등장하고 심지어 1969년 7월 20일,아폴로 11호

우주선에 탑승한 조종사과 미국항공우주국(NASA) 기지국이 나눈 교신

에도 등장합니다.”


유선경 저(著)《문득 묻다》 (지식너머, 66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월7.jpg

<충북 영동, 월류봉 둘레길 겨울 트레킹">  김광부 기자

 

달은 지구를 한 바퀴 도는 공전 주기와 스스로 도는 자전 주기가 같

아서 지구인들은 항상 달의 같은 면만 보게 됩니다. 따라서 지구인들은

언제 어디서 달을 봐도 계수나무와 방아 찧는 토끼 같은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러나 계수나무와 토끼와 실체는 달에 운석이 날아와 충돌한

부분에서 용암이 흘러나와 굳은 흔적입니다.

 

월8.jpg

<충북 영동, 월류봉 둘레길 겨울 풍경">  김광부 기자

 

 그럼에도불구하고, 우리들의 가슴 속에서는

 여전히 달토끼가 살고 계수나무가 있습니다.

아폴로 11호를 타고 달에 도착한 우주인들도 기지국과의 통신에서도

달에 대한 설화 이야기를 합니다.

 

월10.jpg

<충북 영동, 월류봉 둘레길 겨울 풍경">  김광부 기자

 

“달에 발을 내딛기 직전인 역사적인 순간,기지국에서는 ‘남편한테

불사약을 훔쳐 달로 달아난 항아와 계수나무 아래 서 있는 토끼를 찾

아보라’고 중국 설화를 인용하며 농담했고,버즈 올드린은 ‘잘 찾아

보겠다’는 말로 응수했다고 하지요.” (67쪽)

 

월12.jpg

<충북 영동, 월류봉 둘레길 겨울 풍경">  김광부 기자

 

이병주 선생은 소설 「산하(山河)」의 서문에서 유명한 말을 합니다.

“햇볕에 바래면 역사가 되고 달빛(月光)에 물들면 신화가 된다.”

인간은 ‘역사’와 ‘신화’라는 두 세계에서 삽니다. 역사의 양식은

밥이고, 신화의 양식은 커피입니다. 동물에게는 없고, 하나님의 형상

으로 지음을 받은 인간에게만 있는 하나님의 선물입니다.


월16.jpg

<충북 영동, 월류봉 둘레길 겨울 트레킹">  김광부 기자

 

“여호와 우리 주여 주의 이름이 온 땅에 어찌 그리 아름다운지요.

주의 영광이 하늘을 덮었나이다.” (시8:1)

<경건 메일 / 한재욱 목사>

 

월21.jpg

<충북 영동, 월류봉 둘레길 겨울 트레킹">  김광부 기자

 

월22.jpg

<충북 영동, 월류봉 둘레길 겨울 트레킹">  김광부 기자

 

월24.jpg

<충북 영동, 월류봉 둘레길 겨울 풍경">  김광부 기자

 

월28.jpg

<충북 영동, 월류봉 둘레길 겨울 트레킹">  김광부 기자

 

월31.jpg

<충북 영동, 월류봉 둘레길 겨울 트레킹(반야사 가는길)">  김광부 기자

 

월34.jpg

<충북 영동, 월류봉 둘레길 겨울 트레킹(반야사)">  김광부 기자

 

월37.jpg

<충북 영동, 월류봉 둘레길 겨울 트레킹(반야사 삼층석탑)보물 제1371호">  김광부 기자

 

월42.jpg

<충북 영동, 월류봉 둘레길 겨울 트레킹(반야사 전경)">  김광부 기자

 

 

 

배너
배너


김영옥 보건복지위원장,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위한‘서울런’지원』추진 적극 환영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옥 위원장(국민의힘, 광진3)은 서울시가 오는 7월부터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서울런’ 시범사업과 향후 사업 확대 계획에 대해 “교육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매우 의미 있는 정책”이라며 적극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서울런’은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와 1대1 멘토링을 무료로 제공하는 서울시의 대표 교육복지 사업이다. 특히 이번 시범사업은 아동복지시설인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멘토링과 학습 콘텐츠 개방, 전용 ID를 활용한 학습관리 기능 강화 등을 포함하고 있어 현장의 실질적 수요에 부응하는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김영옥 위원장은 “교육에서 출발선의 차이는 곧 삶의 격차로 이어진다”라며, “서울런 대상 아동임에도 실제 이용률이 낮았던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이번 시범사업이 추진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실제 교육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 위원장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농협의 민간 후원이 더해진 이번 사업은 민관 협력의 우수 사례로, 서울시 복지 정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며, “시범사업 이후 전면적인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