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영역 평균은 작년 수능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수학영역의 미적분, 기하의 평균점수는 작년 자연계열의 수학 가형, 확률과 통계는 인문계열 수학 나형보다 낮았다.
한국사영역의 평균은 작년 수능과 비슷했고, 사회탐구영역 중 생활과 윤리는 비슷하게, 한국지리는 낮게, 사회문화는 높게 나왔으며, 과학탐구영역 중 물리학I은 낮게, 화학I, 생명과학I, 지구과학I은 대체로 비슷했으며 물리학II, 화학II, 지구과학II는 낮게, 생명과학II는 높았다.
EBS 연계율이 70%에서 50%으로 낮아지고, 간접연계 방식이 도입된 영어영역의 1등급인 90점 이상의 비율은 6.1%정도로 파악되어 지난해 12.6%보다 낮았으나, 전국예상 비율인 6%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어, 미적분 또는 기하, 과학탐구영역의 총점(300점)으로 보면 2021학년도 수능에 비해 274점 이상의 최상위권 인원이 25% 이상 증가했고, 국어, 확률과 통계, 사회탐구영역의 총점(300점)으로 보면 272점 이상의 최상위권 인원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교육청 관계자는 “상위권은 국어, 수학이, 중위권은 영어가 중요한 변별력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대학, 학과의 영역별 반영비율 대해 면밀한 분석을 통해 자신에게 유리한 대학, 학과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