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5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위기가 기회'입증한 우유업계...사상 최대 매출*수익

코로나 19 사태로 학교 급식이 끊기면서 그렇잖아도 비틀거리던 우유업계가 드디어 도산(倒産)할 때가 왔다는 게 정설이었다. 마지막 보루인 학교 급식의 길마저 끊겼으니 당연한 귀결일수 있었다. 이 같은 예상은 빗나가지 않았다. 코로나 발병이후 1년동안 학교 급식은 반토막이 났고 카페 등도 속속 문을 닫았다. 우유소비량도 곤두박질했다. 그런데, 그로부터 1년이 지난 뒤의 성적표는 예상과는 전혀 딴판이었다. 'A-'도 아닌 'A+'였던 것이다. 유업계 1위 서울우유, 2위 매일우유와 가공업계 1위 빙그레 등 모든 우유관 련 업체들이 지난해 사상 최대의 매출과 순익을 거둬들인 것으로 드러났다. 반전(反轉)도 이런 반전이 없었다. 그렇다면 대반전의 까닭은 무엇일까? '죽을 각오로 임하면 살 것'이라는 성웅 이순신 장군의 말이 떠오르는 대목이 연출된 것이다. 사상 최대의 활황을 일궈낸 유업체들의 공통점은 '과감한 도전정신과 돌파구는 있다"는 신념이었다. 주요 매출원인 급식시장 등은 쪼그라 붙었지만 가정간편식(HMR)과 건강기 능식품 등에선 새로운 길이 개척됐다. 이 틈새를 놓지지 않았다. 신제품을 내놓으면서 유채통체널 다변화와 해외시장을 집중 공략했다.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강한 의지와 도전 이었다. 비대면 영업활동의 영역을 넓히면서 광고, 홍보, 마케팅 제휴 , K- 팝, 한류 바람 등 동원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총 동원하며 집중 공략했다. 문이 열렸다. 온라인 문이 열 렸고 소비자들의 구매욕이 되살아 났다. 이로인해, 서울우유협동조합의 경우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오히려 1,7% 증가한 1조 7,548억원에 영업이익도 6,25%나 증가한 595억을 낸 것이다. 83년 조합 역사상 최대 실적을 올린 것이다. 서울우유는 국내우유시장 점유율이 42,5%에 달한다. 학교단체급식이 전체 매출의 50%를 차지한다. 이런 상황에서 코로나의 직격탄을 맞았다. 단체급식이 줄면서 덩달아 매출이 70%이상 곤두박질했다. 서울우유는 지금까지의 영업방식을 바꿨다. 'B2B'(기업간 거래) 를 'B2C'(기업*소비자간 거래)로 전환했다. 발빠른 전 환이었다. 대형마트, 편의점 등 오프라인 몰은 물론 온라인 몰에서의 이벤트, 광고마케팅 등을 강화하면서 가공부문에선 신제품을 쉴새없이 쏟아냈다. 국산 원유를 사용한 치즈 신제품도 내놨다. 서서히 대세가 이쪽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유제품 매니어들이 귀향한 것이다. 나머지 업체들도 희희낙락 중이다. 위기를 기회로 완전히 바꿔버린 것이다. 우유 신화를 새로 쓰는 중이다.
배너
배너


구리시의회, 광복 80주년 맞아 울릉도-독도 방문으로 독도사랑 의정연수 실시
[아시아통신] 구리시의회는 9월 22일부터 24일까지 3일간 울릉도와 독도를 방문해 광복 80주년을 기념하고, 대한민국의 주권과 영토 지키기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의정연수를 실시했다. 구리시의회 시의원과 의회소속 공무원 등으로 구성된 방문단은 22일 울릉군의회를 방문해 지난 3월 제346회 구리시의회 임시회에서 김한슬 의원의 발의로 제정된 '구리시 독도교육 지원 조례'의 구체적인 실행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나누었으며, 상호결연 도시로서의 협력증진 방안을 논의함으로써 교류와 우호 관계를 재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방문단은 뒤이어 독도박물관을 방문하여 ‘울릉도·독도 근현대사’라는 주제로 진행된 김경도 독도박물관 학예연구팀장의 특강을 수강하며, 독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관심을 통한 독도주권의식 제고의 필요성과 일본의 역사왜곡 문제에 대응하여 독도가 대한민국 땅이라는 역사적이고 구체적인 근거들을 재차 익히며 우리 영토 수호의 중요성을 다시금 상기했다. 23일에는 독도에 직접 방문하여 독도수호의 결의를 다지는 시간을 가졌으며, 독도를 지키기 위해 밤낮을 가리지 않고 힘쓰는 독도경비대에 태극기를 전달하는 등 독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