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 25일 유튜브 생중계, 국제협력기관(C40․EAT), 밀라노, 버밍엄 등 국제도시 참여 - 서울시, 기후환경 변화, 1인 가구 증가 변화 반영한 선진적 먹거리 정책 소개 -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먹거리체계 구축 논의 및 먹거리 재순환사례 공유 - 서울시, 기후위기 대응의 중요성 인식하고 지속가능한 먹거리체계 구축 강화 아시아통신 김광부 기자 |서울시는 세계적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기후변화에 따라 해외 도시들과 지속가능한 먹거리 체계를 논의하기 위해 ‘서울 도시먹거리 국제콘퍼런스 2021’을 10월 25일 개최한다. 지난 8월 IPCC(기후변화정부간패널)은 지구 온도 1.5도 상승이 10년 빨라질 것으로 예측하고 기후위기 시대에 맞는 전 사회적 차원의 전환을 촉구했다. 특히 먹거리분야의 온실가스 감축방안이 주목받으면서 유통, 소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도시먹거리 체계 전환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번 서울 도시먹거리 국제콘퍼런스 2021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도시먹거리 체계 전환’이라는 주제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기후위기의 시대에 도시먹거리 체계를 구현하는 각 도시의 경험과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이며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된다. 콘퍼런스는 학생, 전문가 등 시민 누구나 서울시 유튜브(www.youtube.com/watch?v=gqyiazEm4q0)를 통해 실시간으로 참여할 수 있다. 서울에서 국제콘퍼런스 개최해 국제적 논의를 이끌어가는 연사를 초청하고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도시먹거리 전환을 통한 기후위기 대응 논의를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션 1>에서는 ‘기후위기의 시대,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먹거리 체계 구축 논의’를 주제로 발표와 토론을 진행한다. 서울시 박유미 시민건강국장은 ‘지속가능한 먹거리도시’를 만들기 위해 건강, 보장, 상생, 공동체, 생태, 행복 6대 핵심가치를 기반으로 수립한 ‘서울시 먹거리정책 5개년 기본계획과 비전’을 발표한다. 현재 세계 기후위기 대응을 선도하는 국제도시 네트워크인 C40 도시기후리더십그룹의 Zachary Tofias 먹거리 및 폐기물 담당 이사는 ‘좋은 먹거리 도시’에 대해 발제한다. ‘지구건강식단’을 발표한 바 있는 국제협력기구 EAT의 Lujain Alqodmani 글로벌 액션 이사는 ‘더 나은 지구 환경과 시민의 건강을 위한 먹거리 전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UN정상회담 회의와 제7차 밀라노 도시먹거리정책협약 글로벌포럼 회의결과를 통해 세계적으로 추진 중인 기후위기대응 도시먹거리 정책동향을 들을 수 있다. Filippo Gavazzeni 밀라노 도시먹거리정책협약 사무국장의 ‘전 세계 먹거리 논의에 있어서의 밀라노 도시 먹거리 정책 협약’ 발표로 생생하게 들을 수 있다. <세션 2>에서는 ’먹거리 자원 재순환을 통한 생태도시 전환사례‘를 주제로 주요 도시의 우수사례가 소개된다. 이탈리아 밀라노시의 Andrea Magarini 유로시티 먹거리 워킹그룹 위원장이 밀라노시에서 2050년까지 음식물 쓰레기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책을 공유한다. 영국 버밍엄시의 Shaleen Meelu 도시 먹거리정책 특별 고문은 영국 버밍엄과 인도 푸네지역 간 스마트 푸드시티 파트너십을 형성해 먹거리 순환체계를 마련한 사례를 함께 나눌 예정이다. 현재 선진도시와 국제기구들은 먹거리체계 전환을 기후위기 시대의 주요한 의제로 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올해 11월 제 26차 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지난 9월 UN 먹거리정상회담(UN Food Summit)이 개최된데 이어, 제7차 밀라노협약 글로벌포럼이 10월 19~21일 열렸다. 서울시는 10월 25일 ‘기후위기’를 주제로 도시먹거리 국제콘퍼런스를 개최함으로써 다시 한 번 기후위기 대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먹거리 체계 전환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시는 ‘지구 건강 식단’을 통한 지속가능한 먹거리 체계로의 전환을 위해 ‘C40 좋은 먹거리 도시 선언’에 참여하고 있다. ‘C40 좋은 먹거리 도시 선언’은 시민의 건강과 지구의 건강을 증진하고 보존하기 위한 선언으로 런던, 로스앤젤레스, 파리 등 14개 도시가 참여하고 있으며 2019년 10월 10일 C40 세계 시장 회의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지속가능한 먹거리 서울’을 위해 기후변화 등 환경 변화뿐 아니라 1인 가구 증가 등 빠른 인구학적 변화에 대응하는 선진적인 먹거리 정책을 시행하며, ‘잘 먹는 것이 쉬워집니다’라는 슬로건으로 서울시의 우수한 먹거리 정책을 국제도시와 공유하고 홍보를 강화해 나간다. 박유미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서울시는 기후환경 변화뿐 아니라 1인 가구 증가 등 인구학적 변화에 대응하는 선진적인 먹거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서울시 우수사례를 국내·외 도시와 공유하고 해외도시 경험을 통해 정책을 강화해 기후위기의 시대에 지속가능한 먹거리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