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통신]
<김성주 김제시장등이 굴삭기 시험운행을 지켜보고 있다.>
김제시가 최근 “건설로봇 산업 클러스터화”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로 하면서, 지역 산업 생태계 및 기술혁신 측면에서 여러 가지 변화가 예상됩니다.
주요 내용
-
사업 개요 및 목적
-
건설 현장의 고소(高所) 작업 분야에서의 사고 위험, 인력 고령화, 숙련 인력 부족,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자동화·로봇화 추진.
-
단순히 로봇 만드는 것만이 아니라, “R&D → 실증 → 기업지원 → 인력양성 → 산업 확산”까지 연결되는 종합 생태계(클러스터)를 구축하겠다는 전략.
-
사업 내용 및 규모
-
-
-
국토교통부 & 산업통상자원부의 공동 공모 사업 선정됨. 프로젝트 이름은 ‘고소작업 건설로봇 플랫폼 및 XR 기반 인간·로봇 협업 기술개발 사업’.
-
사업비 총액: 475억 9천만 원.
-
기간: 2027년까지.
-
-
-
고소작업 3종 로봇 시스템 개발: 용접, 도장, 내화 뿜칠 작업을 할 수 있는 로봇 시스템.
-
XR(확장현실) 기반 원격 협업 기술 개발: 인간과 로봇 간 협업, 특히 원격 제어 및 지원을 포함하는 기술.
-
실증 인프라 구축: 김제시 백산면 부거리에 연구동 및 실증센터 등, 국내에서는 최대 규모로 고소작업 로봇 실증 인프라를 만듦.
-
건축 환경을 실제 재현한 실험 공간 마련 → 로봇의 이동성·작업성·안전성 등을 검증.
-
-
기존 인프라 및 연계 요소
-
김제시는 이미 특장차 제1·2 산업단지, 지평선 산업단지 등 특수목적기계 산업 벨트가 있음. 이들과 연계하여 부품기업, 기계기업 등과의 시너지를 노림.
-
지평선 일반산업단지, 스마트팜 혁신밸리 등의 산업·기술 인프라 또한 이미 확보/조성 중임.
-
피지컬 AI 산업(물리적 로봇 + AI)도 김제시가 미래 전략 산업으로 삼고 있음. 건설로봇 클러스터는 이 전략과도 연계됨.
-
기대 효과 및 도전 과제
기대 효과
-
안전성 향상: 고소작업 자동화로 안전 사고 줄일 수 있음.
-
생산성 증가 및 비용 절감: 인력 부족 문제 완화, 숙련도의 차이로 인한 품질 편차 개선.
-
신산업 창출: 로봇 제조, XR 기술, 원격·협업 시스템 등의 기술기업 유치 및 성장.
-
지역 발전 촉진: 김제시가 건설로봇 산업 거점도시로서의 위상 확보 → 일자리 창출 효과.
-
기술 자립 및 경쟁력 확보: 기존에 외국 기술 및 장비 의존도가 높은 분야에서 국내 기술 역량 강화.
도전 과제
-
기술 개발 난이도: 용접, 도장, 내화 뿜칠 고소 로봇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까지는 많은 기술적 난제가 있음 (환경 변화, 재료, 접근성, 안전성 등).
-
원가 문제: 로봇 및 XR 장비, 실증 인프라 구축에는 초기 비용이 많이 들며, 상업화 시 가격 경쟁력이 중요.
-
인력 확보 및 교육: 로봇 관련 전문 인력, XR·원격 제어 기술자 등이 충분히 있어야 함. 대학/연구기관/기업의 협업체계 필요.
-
규제 및 인증: 안전 규제, 건축/건설 관련 법규, 로봇 인증 기준 등이 로봇 적용에 제약이 될 수 있음.
-
현장 수요 확보: 개발된 시스템을 실제 건설현장에서 얼마나 빨리, 폭넓게 채택할지, 그리고 유지보수 등의 사후 관리 체계가 잘 마련돼야 함.
시사점 및 전망
-
김제시는 이번 사업으로 지방 산업 혁신 모델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음. 대도시에만 산업 클러스터가 몰리는 것이 아니라, 지역 중소도시에서도 특화 분야 중심으로 산업 생태계를 만드는 흐름.
-
건설업의 구조적 변화가 불가피한 시대에, 로봇·XR 기반의 자동화 기술은 향후 건설업 경쟁력 유지에 핵심요소가 될 전망.
-
김제시 사례가 성공하면 유사한 지자체나 타 산업분야에서도 클러스터화·실증 인프라 기반의 산업 활성화 전략이 본격적인 진입로를 확보할 수 있음.
-
기술 표준, 안전 기준, 협업 모델 등이 구축되면, 국외 진출 가능성도 존재함 (해외 건설현장, 글로벌 건설로봇 수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