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통신] 한-일 양국 수도의 디지털 정책 공유를 위해 14년 만에 부시장급 면담이 이루어졌다.
김태균 서울시 행정1부시장은 9일, 서울시를 방문한 미야사카 마나부(宮坂 学) 도쿄도 부지사와의 면담을 갖고, 서울시의 디지털 정책 방향과 도쿄도의 디지털 전환 경험과 과제 그리고 양 도시 간 협력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미야사카 부지사는 민간기업 출신으로 도쿄도의 디지털 정책을 총괄하는 최고정보책임자(CIO)이자, GovTech 도쿄 대표이사를 겸임하고 있는 등 디지털 분야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이번 면담은 서울시 디지털 정책의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도쿄도 디지털 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해 미야사카 도쿄도 부지사의 요청으로 추진된 것으로 특히,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한 해에 이루어져 더욱 의미가 깊다.
서울시와 도쿄도는 1988년 9월 3일 친선도시 협약을 체결한 이래 문화예술·경제·청소년·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 협력을 이어왔다. 2023년 6월 27일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도쿄를 방문해 고이케 유리코 (小池百合子) 도지사를 만나 8년 만의 서울시장-도쿄도지사 간 회담을 진행한 바 있다. 도쿄도 고위급의 이번 서울시 방문은 2011년 10월, 요시가와 가즈오(吉川和夫) 부지사가 아시아 대도시 네트워크(ANMC21) 서울총회에 참석한 이후 14년 만이다.
시는 면담 이후 이어진 서울시 디지털 정책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시 정책인 모든 시민이 차별 없이 디지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하는 ‘디지털 기본권’, 글로벌 AI 혁신 선도도시로 도약 하기 위한 ‘AI SEOUL 2025 비전’과 7대 핵심 전략, 서울시사이버안전센터를 중심으로 한 ‘사이버 보안 강화 방안’ 등을 소개했고, 양측은 스마트시티 분야 전반에서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며 의견을 교환했다.
서울시는 디지털 기본권을 통해 통신·이동·교육·건강·디지털 활용·데이터 이용 등 6대 영역에서 시민 누구나 디지털 사회에 동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고 있다. 아울러 서울시사이버안전센터를 중심으로 ’26년까지 전 기관 대상으로 AI 통합 보안 관제를 확대하고, 올해 사이버보안 조례 제정을 통해 체계적 법적 컴플라이언스 확립으로 사이보안 위협 대응속도와 책임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사이버분야에서 도쿄도와 정기적인 교류 및 협력관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AI SEOUL 2025 비전) 시는 ‘모든 산업을 AI 중심으로 재편한다’는 정책 기조 아래 ▴인재 양성 ▴인프라 조성 ▴투자 확대 ▴산업 간 융복합 ▴글로벌화 ▴시민 확산 ▴행정혁신 등 AI 산업 육성 7대 핵심 전략과제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미야사카 부지사는 김태균 행정1부시장과의 면담에서 일본의 디지털 전환(DX) 정책을 소개하면서 행정 효율화와 시민 참여 확대를 위해 AI와 데이터 활용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서울과 도쿄가 직면한 공통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경험과 성과를 공유하며 협력을 넓혀가자고 강조했다. 더불어, 일본 최대 규모 스타트업 컨퍼런스 ‘SushiTech Tokyo(스시테크 도쿄)’와 도쿄도청이 주관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를 위한 ‘G-NETS(Global City Network for Sustainability)’에 대한 서울시의 지속적인 참여를 요청했다.
양 도시 간 교류협력 및 디지털 분야 정책 교류 강화를 위해 도쿄도에서는 올해 9월 29일부터 3일간 개최되는 '메트로폴리스 40주년 서울총회'와 'Smart Life Week 2025'에 대표단을 파견할 예정이다.
김태균 서울시 행정1부시장은 “서울시는 약자와 동행하는 사람 중심의 디지털도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오는 9월 메트로폴리스 40주년 서울총회와 연계해 열리는 스마트라이프위크를 통해 이러한 성과와 비전을 전 세계와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도쿄도 대표단 파견에 감사드리는 바이며, 이를 계기로 향후 AI, 스마트시티, 사이버보안 등 양 도시 간 디지털 분야 협력이 더욱 강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