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두바이의 한 상점에서,
지갑도 카드도 없이 커피 한 잔이 결제된다.
단지 카메라를 바라본 것뿐인데,
계산은 끝났다.
이제 당신의 얼굴이 지갑이 되고,
입장이 되고,
신원이 된다.
누군가는 탄성을 내지른다.
“이 얼마나 편리한 세상인가!”
그러나 나는 조용히 되묻는다.
“이제 얼굴이 문을 여는 시대,
그 문을 닫을 자유는 우리에게 남아 있는가?”
기술은 중립이 아니다
우리는 종종 기술을 ‘선한 도구’로 오해한다.
하지만 기술은 늘 목적을 가진 자의 손에 들려 있다.
그것은 도끼가 될 수도 있고, 도우미가 될 수도 있다.
두바이에서 시작된 얼굴인식 결제는
얼굴이라는 생체 정보를 통해 결제의 혁신을 이루려는 시도다.
카드가 필요 없다.
지갑도 필요 없다.
휴대폰마저 꺼낼 필요 없다.
이제 인간의 신체가 곧 통행증이 된다.
그러나 거기서 끝나지 않는다.
얼굴이 곧 감시가 되는 세계, 그것이 문제다.
감시는 어떻게 시작되는가
얼굴인식 결제는 실시간 CCTV, 공항 출입,
온라인 플랫폼과 연결된다.
당신의 얼굴은 움직일 때마다 흔적을 남긴다.
언제 어디서 무엇을 샀는지,
어떤 표정이었는지,
누구와 함께 있었는지까지.
당신의 얼굴은 모든 것을 말해주는 신원카드이자 감정 리포트이며,
디지털 족쇄가 될 수 있다.
과연 이 세계는,
‘편리함의 끝’인가,
‘자유의 종말’인가?
좀비는 얼굴이 없는 자가 아니라,
생각을 멈춘 자다
중국의 사회신용제도에서는 얼굴인식이 벌써 신뢰 점수, 출입 제한, 온라인 활동 통제의 기준이 된다.
한 개인의 삶은 점수화되고, 자유는 시스템의 허가에 따라 배급된다.
우리는 어쩌면,
기술로 좀비가 되어가고 있는지 모른다.
생각하지 않고, 순응하고, 마음까지 읽히는 삶.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마인드 컨트롤'이 아니겠는가.
우리의 자유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기술은 막을 수 없다.
그러나 우리가 묻지 않는다면,
그 기술은 언제나 권력의 손으로 흘러간다.
질문 없는 기술 감시가 된다
정보 없는 동의 자발적 노예가 된다
편의만 추구하는 사회 인권을 잃는다
우리가 통제당할지,
혹은 통제에 맞설지는,
질문하는 힘에 달려 있다.
결론 — 얼굴을 넘어서,
양심이 열쇠가 되는 세상을 위하여
두바이의 얼굴결제 시스템은 이제 전 세계로 퍼지고 있다.
기술은 이미 문을 열었다.
이제는 그 문지기를 살펴야 한다.
얼굴은 거울이다.
그러나 감시의 시대,
얼굴은 창살이 될 수 있다.
우리는 ‘얼굴’이 아니라
‘사유’와 ‘양심’으로 세상을 열어야 한다.
그것이 진짜 인간의 길이다.
당신의 얼굴이 문을 여는 날,
그 문 너머에 기다리고 있는 것이
자유인지,
감시인지,
잊지 말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