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통신]
<한빛원전의 모습>
고창군 한빛원전 범군민 대책위원회가 정식으로 1·2호기 수명연장 추진에 대한 주민 수용성 확보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최근 주민 공청회가 무산되는 등 지역 여론 반발이 거센 가운데, 고창군 측의 입장을 정확히 정리하였다.
- 최근 상황 요약
-
2025년 6월 14일, 한빛원전 2호기에서 누유 사고(황산 191L 누출)가 발생했고, 고창군은 이에 대해 "근본적인 안전 대책과 인근 지역 보상·피해지원 방안을 수명연장 과정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
-
지난해 10월 고창군을 포함한 6개 기초지자체(영광·함평·장성·무안·부안·고창)는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 대한 보완 요구와 공청회 연기 요청을 한 바 있습니다.
-
특히 올해 7월 15일, 고창과 영광에서 열린 수명연장 관련 첫 공청회가 주민·환경단체 반발로 무산됐습니다 .
고창군의 요구 및 입장
-
주민 안전 보장과 지원 논의 포함
-
고창군은 수명연장 절차에 **“보상·지원책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
-
-
주민 수용성 확인 절차
-
이에 따라 ‘범군민 공청회’ 개최를 요구하며, 주민 의견 수렴과 수용성 확인을 공식적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
-
공청회 개최 보장을 통한 투명성 확보
-
고창군의회 및 범대책위는 공청회 개최를 통한 주민 참여 보장을 계속해서 촉구 중입니다.
-
현안과 향후 전망
항목 | 설명 |
---|---|
현재 상태 | 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발로 공청회 무산. 한빛본부는 재협의 약속 |
고창군의 요구 | 안전 대책, 보상·지원, 주민 수용성 확인을 포함한 수명연장 절차 |
다음 일정 | 한수원이 고창군과 재협의, 추가 주민 공청회 일정 확정 시도 중 |
- 정리 및 평가
-
고창군과 범대책위는 “안전·지원 + 투명한 주민 참여 절차”를 요구하며, 단순 절차적 공청회를 넘어 주민 컨센서스를 확보하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
공청회가 계속 무산된다면 수명연장 추진은 더욱 어려워질 수 있으며, 한수원의 재협의 및 안전조치 계획 마련이 핵심 열쇠가 될 전망입니다.